우리나라 코스피 주가가 많이 올랐는데요. 디스플레이 쪽 종목은 전망이 어떤가요?
YouTube나 뉴스를 보면서 경제 관련 주식에 대해 공부를 하면은 반도체 나 AI는 상당히 비전이 있다고 하는데디스플레이 쪽 예를들어 LG 디스플레이 같은 종목은 따로 언급이 없더라구요. 디스플레이 이쪽 전망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전반의 상승은 이재명 대통령 정부의 기대감 덕분이라서 특별히 디스플레이 분야가 전망이 어떻다고 말하기 애매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집중 육성 분야가 ai, 반도체, 로봇, 재생에너지 등이라서 디스플레이는 별다른 언급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상승에도 디스플레이 종목, 특히 LG디스플레이는 전망이 엇갈립니다. 2025년 상반기 적자 예상에도 OLED 수요증가와 비용절감으로 하반기 흑자전환이 기대됩니다. 키움에서는 4분기 영업이익 1780억원, 연간흑자 가능성을 언급하며 목표주가를 13000원을 제시했습니다.
반도체 AI 보다 성장성은 낮지만, 아이폰 16 OLED 공급확대와 자율주행용 디스플레이스 수요로 중장기 전망은 긍정적입니다. 다만 단기부진과 중국경쟁은 리스크 요인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디스플레이종목은 이미 한국의 경쟁력이 없습니다 LCD는 이미 끝난상황이며 아몰레드 즉 디스플레이도 중국에게 지속 빼앗기고 BOE가 애플이나 글로벌기업을 수주하고 즉 중국 대만업체들이 이미 디스플레이의 경쟁력을 갖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디스플레이는 수익도 안나오고 치열한 경쟁으로 한국이 점점 열위로 가는 산업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디스플레이는 이미 중국에 많은 시장 점유율을 빼앗긴 상황입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평범한 기술력으로는 중국에 따라잡힌다는 것이 일반적인 우리나라 미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 TV 수요회복의 기대감이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위축되었던 가전 수요가 서서히 회복중이며 특히 OLED 중심으로 수요가 전환중입니다. 중국 패널 업체들이 LCD 투자 감축하면서 국내 기업의 채산성 개선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AI, 자동차 디스플레이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성장 흐름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OLED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LG디스플레이가 최근 흑자 전환에 성공했어요.
다만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와 수요 둔화로 여전히 리스크가 산재해 있기때문에 업황자체는 좋지 않아보여요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은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거의 없는 상황이고 중국발 공급물량도 많아서 반도체나 인공지능에 비해서는 미래 전망이 그리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기업들이 강점이 있는 OLDE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장한다면 디스플레이 기업들 또한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는 사람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