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한국에게는 불리한 것인가요?
전날 어느 시민단체 회원이 주장하길,
트럼프가 중국 철강에 25%를 부과하면,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으로의 수출이 막히게 되서,
결국은 저가로 철강을 수출할것이고,
그렇게 되면, 국내에도 저가의 철강이 수입되서 포항제철 등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하더군요.
반미 노선을 기반으로 한 단체여서, 어느 정도 여과를 하고 듣긴 했는데,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주장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 25% 추가관세 부과로 우리나라도 타격이 있지만 가장 많은 물량을 수출하는 중국도 타격이 상당합니다. 이미 철강제품도 공급과잉 상태인데 해당 제품의 물량이 소화가 되지 않으면 결국 밀어내기로 다른 나라로 수출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도 덤핑으로 수입될 확률이 아주 없지는 않습니다.
물론, 현재 우리나라는 중국산 스테인리스강 평팝압연 제품 및 헤이치형강 등의 경우 중국산에 대해서 덤핑방지관세율을 추가로 부과하고 있지만 덤핑 세율을 각오하더라도 많은 물량이 유입된다면 국내시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수도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미국의 철강 수출은 쿼터라는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 무관세로 통관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3월부터는 관세부과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철강 수출에 있어 수출경쟁력을 잃어 수출에 심각한 타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호주와 같은 국가들은 관세부과를 면제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 또한 국가차원에서의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중국은 세계 철강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내수 수요 감소로 인해 과잉 생산된 철강을 해외로 수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의 고율 관세로 인해 중국의 대미 수출이 어려워지면, 이러한 과잉 생산분이 다른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은 이미 벌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도 타격을 이미 입고 있습니다.
오히려 해당 주장에 대하여는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기에 중국 철강을 배제한 미국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기회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적인 데이터 확인이 필요할 듯 하며, 개인적으로 해당 주장은 억지가 강한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