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강한아비166
강한아비16622.08.21

스태그플레이션이 어떤 개념인가요?

경제용어를 찾다보니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를 보게 되서 궁금증이 생겨 질문 올리게 됐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개념에 대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단어로 말 그대로 경기침체와 동시에 인플레이션 즉 물가가 상승을 하고 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면

    5월 1일날 백반 1인분이 10,000원이었고 하루에 이 백반은 100개가 팔렸습니다.

    하지만 쌀가격도 오르고 반찬가격도 올라서 백반가격이 11,000원이 되었습니다.(인플레이션)

    그런데 직장인들은 월급이 그대로라서 백반을 사먹는게 부담스러워져서 백반의 판매량이 90개로 줄어들게 되었습니다.(경기침체)

    이렇게 소비도 위축되면서(경기침체) 물가도 오르는 현상(인플레이션)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보통 정부의 정책이 실패할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보통 물가가 상승하면 경기가 호황기에 진입했다고 보고 금리를 인상하여 물가를 조절합니다.

    • 하지만 스테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하는중에 경기불황이 동시에 찾아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 이 현상을 극복하기가 힘든 것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면 경기 침체가 더욱 가속되고

      금리를 낮추면 물가를 잡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 번 스테그플레이션에 진입하면 어려운 경기침체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가 침체되어 있지만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경제학적으로는 가장 최악의 상황이며, 우선 물가를 잡고 향후 경제활성화 정책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가 침체됨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계속하여 치솟는

    현상을 말합니다.

    경제학적인 관점에서는 최악의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태그네이션'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보통은 경기상승→물가상승, 경기하락→물가안정이 정상적이지만 석유가격이 대폭 인상 등의 특수상황으로 생산비는 높아져 물가가 상승하나 물가상승으로 소비가 줄어들어 진퇴양난에 빠지는 것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각국은 금리인상의 카드를 꺼내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기준금리 변경과 관련이 깊습니다.

    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됩니다.

    관련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110051618001

    경제학자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두 가지 주요 설명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첫째,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가 급격한 유가 상승과 같은 공급 쇼크를 직면할 때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불리한 상황은 생산을 더 비싸게 하고 생산성을 떨어지게 하여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면서 동시에 가격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정부가 너무 빨리 통화량을 늘리면서 산업에 피해를 주는 정책을 만들면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경제성장을 늦추는 정책은 대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정책은 대개 경제성장을 둔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