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핫한치타287
핫한치타287

간전흡연도 경구피임약 복용시 혈전위험 높이는 요인이 될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35

30대중반이구요

저 자신은 전혀 흡연안하는 데여

제가 지금 일하는 사무실이 다들 안에서 흡연해서 간전흡연이 좀 심한데

담달 생리 조절하고 싶어서 경구피임약 복용하려는 데 혹시 혈전 위험 많이 높아요?

음주도 혈전 생기게 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동욱약사입니다.

    30대 중반이시고 안에서 흡연을 하시는걸 간접흡연이면 위험성이 아예 없지는 않겠습니다.

    복용을 하신다면 2세대 중 에스트로겐 함량이 낮은걸 선택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간접 흡연을 하는 것도 말씀하신 것처럼 혈전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경우이긴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간접 훈련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겠으며, 혈전 위험성이 생기는 것은 확률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흡연을 한다고 무조건 생기는 것은 아니기에 과도하게 걱정하실 것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35세 이상의 분이 경구피임약 복용시 흡연을 한다면 혈전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간접흡연 역시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 흡연에 비해서는 크게 문제되진 않겠지만 간접흡연 자체가 몸에 좋지 않습니다. 담배연기를 멀리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림 약사입니다.

    먹는 피임약의 호르몬 성분은 혈관 내벽의 안전성을 떨어뜨려 혈전이 잘 만들어지게 하는데, 담배의 니코틴 역시 혈소판 응집력을 키워 혈전 생성 위험을 더욱 높여 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성을 높입니다.

    최근 나온 경구 피임약일 수록 흡연을 하는 경우 더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금기에 해당되며 간접흡연 또한 영향을 끼치므로 최대한 피할 것을 권합니다.

  • 간접흡연도 흡연만큼이나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30대 중반의 피임약 복용 시 흡연인자는 중요한 인자입니다. 조심해주시는게 좋겠구요. 음주는 간에 부담을 주고 피임약은 간에 의해 대사되기 때문에 이것 또한 좋지 않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