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김치는 왜 겨울직전에 하는 것일까요?
김장김치 완전 좋아합니다.
겉절이, 포기김치 다 좋아하는데요. 근데 왜 김장은 겨울에 하는 것 일까요?
봄여름가을에 담는 김치는 김장이라고 안하는데
왜 겨울에 담는 김치는 김장이라 할까요?
- 안녕하세요. 천리길도 한걸음부터입니다. - 겨울에 김장을 하는 이유는 - 1. 배추는 계절에 따라 맛과 식감, 유통기한에 차이가 있는데, 특히 가을과 겨울에 수확되는 배추가 부드럽고 육즙이 많으며, 영양분 함량이 뛰어나 풍미가 다른 계절 배추보다 뛰어나다고 합니다. - 2. 세계김치연구소에 따르면 김치의 맛을 담당하는 유산균이 겨울철에 담근 김치에 가장 많다고 합니다. 단맛을 내는 만니톨이라는 성분과 청량감을 주는 이산화탄소를 만드는 '류코노스톡 유산균'이 특히 겨울 김치에 더 많다고 합니다. 
 3. 유산균이 빠르게 번식해 김치가 금세 시어지는 것을 막기위해서는 온도를 낮춰야하는데, 냉장고가 없었던 과거 김장돈을 땅속에 묻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결한칼새14입니다. - 오늘날처럼 난방이나 냉장시절이 잘 되어있지않던 예전에는 겨울철에 추운날씨때문에 신선한 채소나 먹을거리를 구하기가 쉽지않아서 그래서 초겨울에 김치를 담가 저장해두었다가 두고두고 먹을려고 하지않을까요.. 
- 안녕하세요. 덕망있는불독137입니다. - 김장을 겨울철 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겨울 배추가 가장 맛있기 때문이며 배추의 맛과 김장 김치의 발효에 따른 김치맛은 온도에 민감합니다 김치는 발효음식이자 유산균에 의해 맛이 크게 좌우됩니다 김치 속 유산균은 2~7°C에서 가장 활발히 증가합니다 결론적으로 10°C이하의 기온이 지속되는 11월말~12월초에 김치를 담글때 가장 먹기 좋은 김치를 만들 수 있어 김장을 늦가을 행사로 진행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Welder입니다. - 김장하기 가장좋은시기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전.즉일평균기온이 4도 내외일 때가 가장적당한데 11월 말에서 12월 초에 해당됩니다. 북부지방은 가을이 짧고 겨울이 일찍오므로 김장을 일찍하지만 남부지방은 추위가 늦게오므로 김장도 늦게 하는 편입니다. - 예전에는 겨울 내내 김치을 먹지못하여 예전부터 겨울에 먹을 김치을 1년 동안 먹을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직한천인조272입니다.요즘한참 김장철이지요 - 김장은 겨울직전에하는이유는겨울에는 농사를지을수가없어서 채소들이비싸고 - 추울때 김치담을려면 춥고귀찮아서아닐까요ㆍ 
- 안녕하세요. 우렁찬향고래88입니다. - 김장철이 추워지는 초겨울에 하는것은 예조상님들은 한겨울에 드실것을 저장해 두기위해 상하지않게 보관을 외부의 항아리에 담아 땅을 파고 보관했습니다. 그런문화를 가지고 있네요. - 그리고 추운 계절에 자라난 배추와 무의 단단함이 가장좋은 시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 요즘은 김치냉장고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금 일찍하는 분들도 있으나 질에서 좀 차이가납니다 -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