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4

삼국시대에 당시 장례식은 어떤 식으로 행해졌나요?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사람이 죽게 되면 무덤을 세워주거나 납골당에 화장을 해서 모셔두는 등의 방법으로 장례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거 삼국시대 사람들은 죽게 되었을 때 어떤식으로 장례식을 해주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04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구려는 초상이 나면 처음 눈물을 흘리며 곡을하고 장례에는 풍악을 울리며 춤추고 노래를 불렀으며, 사람이 죽으면 빈소를 집안에 만들어 3년동안 모셔두고 3년이 지나면 좋은 날을 택해 장사를 지냈습니다.

    생전 입었던 의복, 패물, 수레 등을 무덤 옆에 쌓아두고 장례에 참석한 사람들이 가져가도록했고 봉분은 돌을 쌓아 만들고 소나무, 잣나무를 그 주위에 심었습니다.

    백제는 고구려의 유제를 따랐으며, 신라는 관을 사용해 염을 하고 장사를 지냈는데 따로 능을 설치하거나 불교의 예에 따라 화장을 하여 장골을 하기도 하고 바다에 뼛가루를 뿌리기도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장례 풍습으로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매장문화재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포괄적으로 맞는 말 입니다

    Tip을 드리면

    매장 문화는 삼국시대 부터 상류층부터 시작 되었으며

    통일신라~고려초기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문화가 성행하고... 매장 풍습은 잠시 쇠퇴하다가

    고려 후기 성리학이 도입되면서 ...유교 문화가 중요시되면서

    매장문화로 다시 활성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