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23.01.29

제주도의 돌하르방은 언제부터 만들기 시작했나요?

제주도의 역사를 보면 돌하르방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주오래전부터 돌하르방을 만들었다고전해지는데 역사기록을 근거로 하면 언제부터 제주도에서 돌하르방을 만들기 시작 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돌하르방은 제주어로, 표준어로

    해석하면 '돌 할아버지'가 된다.

    이 명칭은 근대에 나왔고, 그 전에는

    우석목(偶石木)이라고 불렀다.

    조선시대의 기록에는 옹중석(翁仲石)이라는 단어로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어린이들이 돌하르방이라고 부르는 게 널리 퍼지다, 결국 문화재로

    지정할 때 돌하르방이

    정식 명칭이 된 것.


    -출처: 나무위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돌하르방은 영조 30년에 당시 제주 목사(당시 관직 직분) 김몽규가 성문 밖에 옹중석을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옹중이라는것은 중국 진시황때 사람으로 완웅종이라는 사람으로 남해 거인으로 1,000명의 기운을 가졌다고 합니다. 진시황제는 왕옹중이를 시켜 흉노족 등 침략자를 토벌해 격퇴시키도록 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제주도의 돌하르방은 고려시대에 몽골 제국의 몽골 문화 방사탑이 들어와 생긴것이었습니다. 몽골에서 방사탑은 마을의 재난을 막아달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돌하르방은 경계표, 또는 주인 없는 집에 들어가서는 안된다는 속신이 깃들어 있는것으로 출입을 막는 금표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금부터 약 450년전인 영조 30년, 당시 김몽규 제주목사가 처음으로 옹중석(翁仲石)을 만들어 동문밖에 8기 서문밖에 4기 남문밖에 4기를 세웠다.

    翁仲이란 사람의 이름으로 중국 진시황때 완옹중(碗翁仲)을 말하는 것이다.

    그는 남해 거인 역사로 키는 한질 석자나 되고 힘은 천명을 당하였다.

    진시황제는 완옹중이를 시켜 흉노족등 북방 침략자를 토벌하여 격퇴시키도록 하였다.

    옹중은 가는 곳마다 적을 밟아 죽였으므로 흉노족은 옹중을 보기만 하여도 혼비백산하여 도주하였다.

    그가 죽으니 진시황제는 그의 공로를 생각하여 그의 상을 구리로 만들어 아방궁 문 밖에 세워 두었다.

    한편 흉노족은 옹중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 원한을 풀기 위해 쳐들어 왔다.

    멀리 아방궁쪽을 바라보니 옹중이 으젓하게 서 있지 않은가?

    이를 바라본 흉노족은 옹중이 죽었다는 말이 헛소문이라 하며 그대로 도망갔다.

    이때 진나라 사람들이 완옹중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나라를 지킨 수호신이라 하여 그의 상을 구리나 돌로 만들고 궁궐이나 관아 앞에 세우게 되었다.


    제주에서 김몽규 목사가 중국의 옹중석을 제주에 세운뜻은 숙종.영조 연간에 제주에 흉년이 자주 들어 굶주려 죽고 전염병으로 죽은 수가 매우 많았다.

    그중에는 원귀가 되어서 생인을 괴롭힌다 하므로 동·서·남문 밖에 옹중석을 만들어 원귀가 드나들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것이 예가 되어 정의현, 대정현에도 옹중석을 만들어 세웠다.

    단지 현으로써 차등을 두고자 제주의 옹중석 보다는 작게 만들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돌하르방은 제주도 세 곳의 지역에 산재해 있으며 현재 47기가 전해온다고 합니다. 제주도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일반 대중들에게도 인기 높은 돌하르방은 그 기원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고 합니다.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는 남방기원설, 북방기원설, 제주자생설 등이 제기되었다고 하지요. 각 주장들은 구체적인 돌하르방의 양식 분석 없이 역사적 배경이나 인류학적인 검토를 통해 돌하르방의 기원을 논의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 까지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돌하루방이 언제 정확하게 만들어졌는지는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기록에는 1754년에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마을의 경계석이나 수호신 같은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