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7.27

과거 사람들은 왜 결혼(혼인)을 일찍 했던것일까요?

과거 시대(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은 대부분 결혼을 10대에 많이 하였다고 들었습니다. 최소한 제가 본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그랬습니다. 그렇다면 예전에는 왜 결혼(혼인)을 그렇게 빨리 했던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혼이 발생한 역사적 배경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 연구에서는 가능한 빨리 후사를 얻기 위해서 혼인은 서둘렀다는 점과 원나라 때 공녀로 끌려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일찍 혼인하던 풍속이 생겨났다는 점 등이 거론되었고. 그러나 조선시대에 조혼이 일반적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반론이 제기되었으며, 앞으로도 논의될 여지가 있습니다.


    한편, 조혼 풍속 중에는 신랑, 신부가 모두 어린 경우 외에도 성인이 된 여성과 어린 신랑이 혼인하는 사례와 신부를 어렸을 때 시가에 데려와 키워 일정한 나이가 되면 혼인시키는 민며느리의 풍습도 존재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농경 사회 였습니다. 농경 사회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가족들의 수자 아무래도 많은 것이 더 좋았습니다. 그래서 하루 라도 더 빨리 결혼을 해서 애를 낳아서 농사일을 거들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할아버지, 아버지, 나, 그리고 내아들 까지 아렇게 4대가 한집에 사는 경우도 비교적 많이 있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료 수준이 열악했던 전근대에는 언제 어떤 병으로 후계자가 죽을지 몰랐으므로 최대한 빨리 자손을 남길수록 가문 유지에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 당시 조선시대 평균 수명이 35세 근처이고, 평균 혼인 나이가 15-20세였습니다. 평균 수명으로 보면 그렇게 빨리 하는 것도 아닌 것입니다. 물론 이 당시 조혼의 기준은 13세 미만에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국가에서 조혼에 대한 규제를 가하기도 했습니다. <세종실록>을 보면 남자는 16세, 여자는 14세 이후에 혼인할 수 있도록 했고, <경국대전>에서는 남자는 15세, 여자는 14세 이후에 혼인할 수 있다고 규정했습니다. 게다가 결혼을 하지 않은 남자아이는 '총각머리'를 하고 다녔습니다. '총각하다'는 머리를 땋아서 두 뿔 모양으로 묶는 행위를 말합니다. 결혼을 빨리 하지 않으면 우스꽝스러운 머리를 하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결혼을 빨리 하는 것이 그 당시 문화로 자리 잡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