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한 선생님만 보면 우는데 왜 그럴까요?
31개월 남아. 어린이집 다닌지 2년 넘었어요
등원 시 다른 선생님들이 나오면 양손 흔들고 웃고 달려가고 난리 나는데, 한 선생님(담임1이라 칭할꼐요)만 보면 울고 안 들어가려고 해요. 담임 1께서 올해 부임하셔서 한 동안 낯을 가리다 얼마 전까지는 좋았는데 최근들어 담임1이 나오면 뒷걸음 치네요. 담임1도 눈치챘는지, 왜 나만보면 우니~, 언제부터 울었어요?라고 묻네요.
아이에게 트라우마가 있을 거 같기도 한데 제가 확대해석 하는 걸까요?
아이 언어가 느려서 물어보지 못하고 ㅠㅠ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안경을 꼈다는 이유로 혹은 눈썹이 진하다는 이유로 눈이 크다는 이유 등 다양한 이유로 이유없이 낯을 가리고 울기도 합니다. 확대해석을 하는 것은 아이에게도 선생님에게도 그리고 부모님에게도 좋지 않습니다. 조금 더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낯가림이아직 남아있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원에서 생활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으며
혹여 걱정이 된다면 아이가 울만한 이유가 있는지 한번 이야기해보셔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낯가림이 심한 아이라면 처음 온 선생님이 익숙해지기 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처음 온 선생님에게 익숙해 질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이 좋구요.
또 다른 저의 생각은 아이가 처음 온 선생님이 무서워서 울 수 있습니다. 선생님의 무표정이 아이에게는 무섭게 다가올 수 있어요. 선생님은 아이에게 뭐라고 하거나 아이에게 터치를 하지 않았어도 선생님의 표정이 아이를 무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선생님이 웃는 표정 연습을 많이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마도 아이가 새로 부임한 선생님과의 관계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을 느끼고 있을 수 있어요. 어떠한 요인에서 그런 행동을 하는지를 학교 방문을 통해 아이가 학교에서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지 직접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거 같고 어린이집 선생님과 면담등의 방법으로 소통을 통해 알아보시고 문제를 해결해 보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본능적으로위협이나 불안 자신에게 해가되는것을 피하고무서워합니다.
언어가서툰경우 오히려 더크게 행동 눈물 소리지름등으로보일수있겠네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 선생님에게 혼난적이 있거나
아니면 다른 친구가 혼나는 것을 목격해서
그럴수 있어보여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아이가 선생님이 다른 아이를
혼내거나 그러한 것들을 목격하여 이에 대한
두려음으로 그럴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글의 내용대로 담임 1께서 인제 부임했기 때문에 아기가 낯을 가리는 것 같습니다
좀 더 지켜 보시고, 아이가 심하게 울면, 하루종일 맡기기 보다는 짧게 점심 전에 데리러 가는 것도 고민해 보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선생님에게 겁을 먹거나 공포심을 느낀
경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아이들은 이유 없이 사람을 두려워
하는 경우가 드뭅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심리상태를 파악하시는 것이 우선입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