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보올스와 진티스의 대응이론에서 학교교육은 어떻게 보는지 알려주세요.

학교는 억압적 자본주의 사회의 유지에 필요한 가치관과 성격적 특성을 학생들에게 주입시킨다고 하는데요. 궁금한게 보올스와 진티스의 대응이론에서 학교교육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자세한 내용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르크스주의 사회학자였던 진티스와 보울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교육의 기능은 그들이 필요한 노동력의 재생산을 위한 교육이라고 보았습니다.

      진티스와 보울스가 말한, 학교의 규범과 가치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요구되는 노동 규범과 가치에 부합하는 네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학교는 종속적인 노동력을 생산합니다. 학교는 무비판적이고 수동적인 노동자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공장에서의 고된 노동에 적합합니다.

      2. 학교는 위계질서와 권위를 받아들이도록 장려합니다. 학생들은 교사의 권위에 복종해야하며, 이후 직장에서도 근로자는 관리자의 권위에 복종해야합니다.

      3. 교육 시스템은 외부 보상에 의한 동기 부여를 강조합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얻게 될 자격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도록 가르치며, 직장에서 근로자는 임금에 의해 동기부여를 받습니다.

      4.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은 소외되고 착취적이 됩니다. 자본가들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노동자들을 생산 라인의 일부로 취급하며, 노동자는 내재적인 동기가 없고 외부적인 동기에 의해 일하는 것을 강요받게 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학교가 호기심과 자기 일에 대한 보상 없이 지루한 수업을 참는 법과 외부 동기에 따라 열심히 일하는 방식을 가르치도록 요구됩니다. 이는 미래의 고용주가 요구하는 규범과 가치와 일치한다고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