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왜 코스피에서 20%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인가요?
삼성전자는 왜 코스피에서 20%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인가요?
다른 회사들도 많은데 굳이 삼성전자를 저렇게 많이 해야하는 구조적 문제가 있는 것인가요?
삼성전자 자체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기업이며 글로벌 대기업이기에 시가총액이 그만큼 크고 이에 코스피 차지 비중이 높은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국내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기업으로 매출액과 시가총액이 매우 크기 때문에 코스피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서 투자자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코스피 지수가 삼성전자의 영향을 20%나 많이 갖는 구조적인 문제입니다.
구조적 문제라기 보다, 그냥 삼성전자라는 회사가 매출액은 물론 자본금 규모가 다른 회사보다 월등히 크고 주식 가격도 월등히 비싸다 보니 시가총액(총주식수 X 주식가격) 이 코스피 시가총액의 20%를 상회하는 것입니다.
1%의 부자가 우리나라 부의 20% 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까요.
삼성전자의 주식이 다른 회사에 비해 투자하려는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발생한 것이지, 누군가가 임의로 정한 것이 아닙니다. 물론 구조적으로 옳은 상황이라고는 할 수 없겠으나, 임의로 조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삼성전자가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정부가 그렇게 만들었거나 삼성전자가 그렇게 요청을 해서가 아닙니다. 처음부터 삼성전자 비중이 컸던 것이 아니라 삼성전자가 다른 기업에 비해 지속적이고 큰 폭으로 성장을 해서 수익이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결국은 수익성과 성장성이 주식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고 그 주식의 총액이 시가 총액입니다. 처음에는 똑같은 시가총액을 가진 기업들이라고 하더라도 특정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면 나중에 그 기업의 시가총액이 주식 시장 전체 시가총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사례가 그렇습니다
질문하신 삼성전자가 코스피에서 2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삼성전자가 코스피에서 20%의 시총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인위적으로 그렇게 되거나 누가 그렇게 부여한 것이 아니라
삼성전자가 그만큼 대기업이기 때문입니다.
언제라도 삼성전자를 뛰어 넘을 기업이 나타난다면
그 비율은 다시 바뀌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문제라기 보다는 그만큼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높고 국내 기업중 벌어들이는 수입이 월등히 높은 기업이기에
밸류를 더 높게 측정 받는 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코스피 비중은 임의로 결정하거나 가중치를 두지 않고 오로지 시가총액으로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의 시총이 높아지면 비중이 더 상승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