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브로니
브로니23.05.18

빛의 속도는 초당 30만킬로를 간다고하는데 항상 그런가요?

빛은 초당 30만킬로미터 속도라고 하는데 항상 그런가요?

우주와 같은 진공상태와 우리 주변의 공기나 중력, 기압등의 외부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빛이라도 저항이 생겨 속도가 조금이라도 늦춰질 것 같은데요. 우주와 지구에서의 빛 속도가 동일한지 궁금합니다. 다르다면 어떤 이유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빛의 속도는 공간 속에서 항상 일정합니다. 빛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초당 약 30만 킬로미터 (299,792,458 미터)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값은 진공 상태에서 빛의 속도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물질 매체나 중력장과 같은 매체에서는 빛의 속도가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이나 유리와 같은 매체에서는 빛의 속도가 진행 방향에 따라 다르게 되며, 이를 굴절이나 반사 등의 현상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보다 우주에서 더 빠릅니다.

    우주는 입자가 거의 없는 진공 상태로, 빛이 진행하는데 있어서 방해하는 입자가 없으므로 빠릅니다.

    지구에는 대기가 있어서 빛이 진행하는데 방해하는 입자가 있습니다.따라서 우주에서의 빛의 속도가 지구에서의 빛의 속도보다 빠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일정합니다.

    특히 말씀하신 진공에서 빛의 속도는 초당 299,792,458m로 정확한 값을 가집니다.

    하지만, 지구에서는 빛의 속도가 달라질 수도 있는데요, 이는 지구의 대기에서 빛이 매질을 통과하기 때문입니다. 빛이 매질을 통과할 때는 속도가 변할 수 있는데, 빛이 매질의 원자에 의해 흡수되고 다시 방출되는 과정에서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니요, 빛의 속도는 항상 일정합니다. 빛의 속도는 약 299,792,458m/s(약 30만 km/s)이며, 이는 빛이 진공 상태에서 직진할 때의 속도입니다. 이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 의해 밝혀졌으며, 이론적으로 빛의 속도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는 우주, 공기, 물 등의 매질에 따라 달라지지 않으며, 빛이 직진할 때는 항상 일정한 속도로 진행됩니다. 이는 또한 빛이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누구에게나 어떤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고 일정합니자 이것을 광속 불변의 원리라고 합니다. 이때 이 일정한 값이 초속 30만 km 근처인 것이고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종종 빛의 속도가 일정하고 아무 것도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없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완전히 정확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실제로 의미하는 것은 무엇이든 움직일 수있는 가장 빠른 것이 진공 상태에서 의 빛의 속도라는 것입니다. 이 값은 초당 299,792,458 미터 (초당 186,282 마일)입니다. 그러나 빛은 실제로 다른 매체를 통과 할 때 속도가 느려집니다. 예를 들어 빛이 유리를 통과하면 진공 상태에서 속도의 약 2/3로 느려집니다. 거의 진공 인 공기 중에서조차도, 빛은 약간 느려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