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지나가는 행인 22
지나가는 행인 2223.11.13

축농증은 약으로 조절하는게 좋은가요? 수술이 낳은가요?

나이
45
성별
남성

축농증이 생긴지 꾀 오래됬는데 약으로 조절하는게 낳은지 수술받고 깔끔하게 제거하는게 낳은지 궁금합니다. 수술로 인한 부작용이나 기능손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축농증의 경우 우선 항생제 치료를 시작해 보시고 이로 인해서도 효과가 없다면 그 때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당연히 약물치료가 좋습니다

    수술은 가능하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약물치료가 효과가 없을 때 수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치료를 미루면 안 되겠습니다

    축농증 수술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수술이니 크게 걱정하지 마세요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축농증 치료 방법은 개인의 상태와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축농증은 약물 치료로 시작하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약물 치료는 주로 항생제, 비강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항히스타민제, 그리고 해열진통제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감염을 치료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며,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적절한 수분 섭취, 습도 조절, 그리고 코를 부드럽게 불어내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로 호전되지 않거나 만성 축농증, 반복적인 감염, 비중격만곡증 같은 구조적 문제가 있는 경우 고려됩니다. 수술은 부비동 통로를 넓혀 비강의 배출을 개선하고, 감염된 조직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대의 축농증 수술은 대부분 내시경을 사용하여 비교적 안전하고 정밀하게 진행됩니다. 수술에 따른 부작용이나 기능 손실의 가능성은 있지만, 대개는 드물며, 수술은 경험이 풍부한 이비인후과 전문의에 의해 신중하게 수행됩니다. 부작용으로는 출혈, 감염, 냄새 감각의 변화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증상이 개선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축농증에 대해서는 당연하게도 가능하다면 약물 치료를 통해서 증상을 조절하고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과 같은 침습적인 치료는 비침습적인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을 때 고민해보아야 하는 차선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