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재빠른거북이 795
재빠른거북이 79522.10.01

연준의 무한 돈풀기가 현재의 경기침체를 만든 주범인가요?

2년전부터 시작된 엄청난 양의 재정을 투입해 어마어마하게 찍어낸 달러 때문에 물가가 오른것이고 그 물가를 잡기위해 재정긴축을 통해 현 상황을 만든것 같은데요. 경기침체의 주범은 연준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상황을 어떠한 하나의 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만, 원래 코로나 이전에 과도한 금리인하와 양적완화정책을 돌리고자 하였으나 코로나로 인하여 더 많은 돈이 풀려버리면서 현재의 상황까지 왔다라고 해석되는 내용이 꽤 많습니다.

    다만 이는 결국 결과론적인 부분이며, 그당시에 어떠한 정책(금리인상 등)을 취했어도 동일한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고 봅니다.

    또한 러시아의 전쟁이나, 코로나 등의 외부적 요인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엄밀히 따져보면 미국연준의 문제가 아니라 2년정도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바이러스가 문제인것이죠. 이병으로 인해 경기는 침체되었으며 많은 인적,물적피해가 발생하였고 이를 극복하기위한 정부는 제정을 풀어 경제를 살리기 위한정책을 펼칠려고 했기때문입니다.항상 부작용은 있는법이죠..우리가 원자로 핵융합발전을 사용하므로써 여유있는 전기를 사용하지만 그에 따른 폭발위험 및 폐기물처리등은 또하나의 과제이지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준의 무제한 돈풀기, 즉 양적 완화 정책이

    현재의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친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만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급등, 전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경기침체 등 다양한원인으로 경기침체를 가져온 것이지

    연준이 주범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2년 전 코로나로 인해서 경기침체가 오려고 했을 때 돈을 풀고 인위적으로 경기 부양을 했고 그 후폭풍입니다. 결국 경제라는 것은 인위적으로 돈을 풀어서 부양하려고 하면 결국은 그로 인한 폐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새로운 신성장 산업의 부상이나 실물 경제의 성장이 아닌 돈을 풀어서 금융 경제만 성장시키는 것은 역사적으로 이렇게 경기침체를 불러온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