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귀여운말225
귀여운말22522.01.04

중학생인데 공부 방법을 모르겠다고 하네요

중학교 1~2학년 과정을 거의 놀다시피 했는데 공부 따라 잡을 수 있을까요.. 자꾸 공부해도 안된다하고 공부방법을 모르겠다고 하네요.. 과외 선생님을 2년을 붙여놔도 소용이 없고..늦게라도 공부하게 되는 계기가 생기면 따라 잡을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수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과외시간에 어떤 것을 공부햇는지 파악이 우선인듯 합니다. 2년이면 오랜시간인데 변화가 없었다하면

    원래는 부족한 지점부터 한개씩 해나가고 특히 아이가 과외시간 외에 자기것으로 만드는시간이 특히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부습관 형성이 먼저 필요로 해보입니다. 엉덩이가 자꾸 뜨더라도 책상위에 먼저 앉아 있는 습관형성이 필요로 해보입니다. 아이가 흥미있어 하는 과목으로 먼저 아이의 흥미를 먼저 유발해보는건 어떨까요?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유튜브나 책을 보면 학습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나옵니다.

    부모님이 이런 유튜브나 책을 보면서 먼저 학습을 해보세요.

    그 다음 학생과 대화를 하신다면 학생의 눈높이에서 훨씬 더

    와닿고 좋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제 중3이면 공부를 본격적으로 해야하는 시기이네요. 가장 먼저 아이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대처하는 게 맞습니다. 기초가 거의 없는데 중간 혹은 상위권 학습법은 맞지 않습니다. 중학교 2년을 거의 놀았다면 중3공부보다 중 1.2의 기초 수학 영어를 소화하는데 초점을 두기를 권합니다.

    다른 하나는 아이의 심리상태입니다. 아이가 공부를 하고 싶은지 하려고 하는지 하기 싫어 혹시 핑계를 대고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네요. 만약 그렇다면 아이의 학습욕구를 자극하는 것이 먼저일 것입니다. 정말 학습법을 모른다면 학습법은 정말로 다양하니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아야 할 듯합니다.

    고등학교 공부가 본격적인 공부입니다. 하지만 영어 수학 국어 기초가 너무 부족하면 고등학교때 따라잡기 버거울 수 있습니다. 아이의 현재 수준을 정확히 진단하여 늦었다고 판단하시지 마시고 기초부터 하면 고등학교 때에는 기회가 찾아올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중학교 과목은 아직 기초가 잡히지 않았으면 심화과정을 배우거나 공부를 하는데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합니다

    시간적 체력적으로 무리하게 학원을 다니는 것은 공부에 대한 적대감만 유발할 뿐입니다

    공부의 본질은 독해입니다

    중하위권의 독해력으로는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도 성적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독해력이 부족하면 교과서를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으며 다른 과목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영어도 수학도 그렇지요

    독해력을 키울려면 독서를 많이 해야 합니다

    아직 중학생이니 습관을 잘 들여서 매일 책 한권 정도 읽도록 추천드려요

    고등학생 되면 정말 전쟁터입니다 미리 준비하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부를 꾸준히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진도를 따라가기 힘들면 기초부터 천천히 시작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너무 조급해하지 않으셔도 좋을 것 같아요 천천히 남들보다 느려도 나중에는 남들만큼 남들보다 더 앞서가실 수 있을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