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7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등장은 우리 역사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게 되었는지 역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고려말 신흥무인세력과 함께 조선의 건국에 큰 힘이 되었던 세력 중에서 신진사대부 세력이 있는데 신진사대부는 우리 역사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게 되었는지 그 역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4.17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사대부는 위화도 회군을 기점으로 두 세력으로 분열되어 정치적 갈등을 벌였다. 최영(崔瑩)의 요동정벌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던 신진사대부는 이성계(李成桂)를 중심으로 결집하여 우왕을 몰아냈고, 급진적 개혁을 추구하며 구세력과의 단절을 꾀하였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사대부는 당시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권문세족과 출신 기반은 물론 경제적, 사상적 기반을 달리하며 정치적 입장에서도 차이를 드러냅니다.

    신진사대부의 기원은 무인정권기에 기용되었는 능문능리의 관인층으로 주로 하급관료나 지방 향리의 자제들이 주류를 이루고 경제적으로 지방의 중소지주 출신이 많습니다.

    신진사대부들은 원간섭기를 통해 서서히 정치적 입지를 확대하고 공민왕이 추진한 반원 개혁의 과정에서 기용되어 권문세족에 대항하는 정치세력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는 것을 중시하던 신진사대부들은 좌주문생의 관계를 바탕으로 사적인 유대를 강화해 하나의 정치세력을 형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사대부는 출신 성분이 지방향리 출신으로 무신집권기 이래 과거를 통해 중앙 관리로 진출하였고 공민왕 때 지배 세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왜냐하면 행정 실무 담당하고 능리능문 했습니다.

    성향은 친명파고 과거로 출신했습니다.

    특징으로는 불교를 비판하고 성리학 수용하였으며, 중소 지주입니다.

    온건 개화파는 고려왕조를 유지하는 쪽이고 급진 개화파와 신흥 무인 세력은 역성혁명을 주장하였고 결국 조선 건국에 큰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사대부란, 고려 후기 권문세족의 횡포를 비판하면서 새롭게 등장한 세력으로 고려 말기의 집권세력이자 조선의 건국세력이 됩니다.

    아무래도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것은 조선의 탄생(건국)일 것입니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o300600&code=kc_age_30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등장은 고려말 모든 권력을 독식하고 고려의 대부분의 땅과 재산을

    차지하고 있던 부패한 권문세족에 맞서 대립하게 되었고 부패한 고려로서는 가망이 없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자는 공감대가 형성 되었습니다. 물론 온건파가 끝까지 반대하며 고려의 개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결국 급진파에 의해 조선이 건국되고 조선은 사대부들로 인한 유교의 나라

    성리학의 나라가 됩니다. 조선 초 성리학으로 바른 정치를 펴려고 하였으나 성리학적 사고관이 너무 개념적인

    것이어서 그들은 그들의 이상과 신념을 가지고 다투었어 그것이 붕당으로 나뉘어져 나라의 실질적인 발전과

    이익에 전념해야 할 위정자들이 실체가 없는 이상만 쫒은 결과 조선은 주자가 다스리는 나라가 되어 버렸고

    세계사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여 결국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을 격을 수 밖에 없었고 열강들의 힘에 좌지우지되는

    약소국으로 전락하였습니다. 물론 사대부들의 성리학적인 사고가 장점도 많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너무 이상에 치우치게

    되어 우리가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되새겨야 할 부분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사대부는 말그대로 새로운 사대부의 등장이었으며 젊은 후학들이 양성되고 정치세력의 다변화가 생긴 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