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락의 뜻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금동보안관 입니다. 위에있는 제목대로 배당락의 뜻이 무엇인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은 배당금을 받기 위한 자격을 얻기 위해 주식을 보유해야 하는 특정 날짜를 지나면 그 주식의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주식은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으므로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이란 어떤 주식의 배당 기준일이 지나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입니다. 주식의 배당기준일이 지나 지난 회기의 배당금을 받을 주주의 권리가 없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질문주신 배당락이란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짜를 의미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배당락이 1월 30일 오늘이라면, 1월 29일 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수 있으며
배당락 이후인 내일 주식을 산다면, 배당금을 받지 못하는 걸 의미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은 해당주식이 현금배당이 확정될경우 배당기준일 다음날 배당금액만큼 주가가 그만큼 감액되어 주가가 형성되는것을 배당락이라고 하며 이 배당락은 미국에만 있습니다
한국도 배당락이 있다고 하지만 엄밀히 배당락이 있는게 아니며 그냥 그다음날 대다수 기관이나 투자자가 매도하여 하락하는것이며 이에 분기배당이나 중간배당기준일 다음날은 특별히 이런모습을 보기가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이란 배당을 받을 권리가 소멸되는 시점으로
락(lock)이란 잠긴다는 의미를 가진 합성어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이라고 하는 것은 배당으로 인해 사람들이 매매하여 주가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배당금 금액만큼의하락이 있습니다.
배당락은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의미합니다.
배당을 받으려면 일정한 기준일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하는데, 이 기준일이 지나면 주식을 매수하더라도 배당을 받을 없는데, 이때 주식 가격이 조정되는 현상을 배당락이라고 합니다.
배당락은 보통 배당 기준일 다음 거래일에 발생합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 기준일 2영업일 전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