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
24.01.25

조선에서 삼년상은 언제 정착했나요?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채택해서 삼년상을 치르도록했지만 이전 왕조가 불교국가여서 화장하는 풍습이 널리 퍼져있었는데 이러한 화장하는 풍습에서 유교적 매장과 삼년상문화가 정착한것은 언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행복한북극곰
    행복한북극곰
    24.01.25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초기 삼년상이 공식 장례법으로 채택되었지만

    불교식 장례의 간편함때문에 이 삼년상이 정착하기까진 200년이상 걸렸습니다.

    즉 조선 초기에서 중기 사이 이 삼년상 문화가 조선에 정착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초기에는 유교식 삼년상보다는 불교식 장례를 치를 때가 더 많았습니다. 만 2년이나 묘를 지켜야 하는 삼년상과 달리 간단하게 화장하고 사십구재를 지내는 정도면 장례절차가 쉽게 끝났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조선 초기부터 삼년상이 공식 장례법으로 채택되었음에도 삼년상이 완전히 자리잡는 데에는 2백여 년이 걸렸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1.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년상이 언제부터 정착이 됐는지가 궁금하군요.

    조선 초기부터 삼년상이 공식 장례법으로 채택되었음에도 삼년상이 완전히 자리잡는 데에는 2백여 년이 걸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에 부모와 조상에 대한 효를 통해 국가에 대한 충을 담보해내려고 강조된 것이 삼년상 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년상은 유교 문화권에서 치른 장례 방식의 일종 입니다. 한반도에서는 삼국 시대에도 이미 삼년상을 했음을 중국 측 기록으로 알수 있다고 합니다.말 그대로 3년(36개월)이 아니라, 대부분 27-28개월이다. 만 3년이 아닌 3년차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