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erc-20.trc-20.트론. 루니버스 기반이 뭔가요?
궁금합니다.
가상화폐보면 각 화폐마다 지갑형식이 틀리더리구요.
송수신 알고리즘이 틀린건가요?
잘못보내면 사라진다고 하던데.
그형식에 맞는지 어떻게 알수있는거죠?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ERC-20, TRC-20, 루니버스 기반 등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
이는 간략하게 말해 네트워크 플랫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각 플랫폼마다 그 기능이나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며, ERC-20(이더리움) 기반의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듯이 각 플랫폼마다 그 성격이 다릅니다.
이러한 네트워크 플랫폼 하에서 탄생한 암호화폐를 토큰이라고 부르며,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를 코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기반의 암호화폐의 지갑을 사용하셔야 하며, 예를들어, ERC-20의 토큰을 송금 시, 이더리움 지갑으로 보내시면 자동/수동으로 입력되어 입금이 되지만, 다른 기반의 토큰 주소로 보냈을 시에는 전송이 되지 않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가상화폐 erc-20.trc-20.트론. 루니버스 기반이 뭔가요?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erc-20,trc-20,루니버스 기반등은 메인넷 을 기준으로 분류가 되는것입니다.
erc-20의 경우 이더리움 메인넷이고 trc-20은 트론 기반의 메인넷 입니다. 루니버스는 람다256에서 만든 루니버스 기반 메인넷입니다.
메인넷은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당 메인넷 기반으로 토큰 발행을 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것들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들늘 지칭합니다.
Erc는 이더리움을 지칭하고 Trc는 트론을 지칭하고 루니버스는 lmt로 일컫습니다.
이 블록체인들은 서로 다른 주소체계를 자지고 있습니다. 물론 어떤 경우이는 주소 체계가 비슷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더리움과 트론의 주소는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실수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루니버스와 이더리움의 주소체계는 비슷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주의해서 다른 블록체인 주소를 쓰지 않게 해야 합니다. 만약 잘못하면 자산이 사라집니다.
감사합니다.
ERC-20기반의 암호화 화폐는 이더리움을 사용해서 만든 암호화 화폐라고 보면 됩니다.
트론은 이더리움 같은 하나의 암호화 화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루니버스 기반의 암호화 화폐는 루니버스를 사용해서 만든 암호화 화폐 입니다.
송수신 알고리즘이라기 보다는 플랫폼이 다르다보니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플랫폼이 다르다보니 지갑의 주소도 다르기 때문에 잘못해서 전송하게 되면 찾기가 어렵습니다.
주소 형식을 가지고 어떠한 암호화 화폐인지는 알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맞습니다.각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갖고 있고
그 안에서 개발된 코인은 해당 네트워크로만 전송되어야합니다.
쉽게말해 아파트 a,b,c동이 있을때
퇴근을 하면 살고있는 동수에 가야만 집에 들어갈수있는것과 같습니다.
각각의 코인은 하나의 네트워크만 갖기 때문에
쉽게 확인 가능하십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