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4.02.09

이방원은 1차 왕자의 난을 성공하고 왜 정종을 왕위에 올렸나요?

이방원은 1차 왕자의 난을 성공하고

본인이 왕위에 오른 것이 아닌 뒤에서 실권을 잡고 앞으로는 정종 왕으로 추대했습니다

왜 이방원은 결국 자신이 왕위에 오를 것임에도

먼저 정종을 왕의 자리에 앉게 한 것인가요?

이방원이 1차 왕자의 난 때 제거하지 못한 세력들이 존재해서 그런 선택을 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방원이 1398년 1차 왕자의 난에서 정도전을 제거하고 스스로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왕자의 난을 목격한 태조가 격노하자 적자 우선의 명분으로 세움으로써 자신의 야욕을 은폐하려는 의도로 방과에게 왕위를 양보하였습니다.(첫째 진안대군 방우는 일찍 사망하였습니다.) 그러나 정종은 왕위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자신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야심이 없고 정치적 기반이 약한 형 이방과에게 차기 제왕의 자리를 양보함으로써 아비를 치고 아우들을 살해한 주동자로써의 책임을 떠맡김과 동시에 훗날을 기약할 자신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방원과 같은 경우 바로 왕위에 올랐다면

    정치적 명분도 잃고 다른 반대세력에게 지탄받을 수 있는 등

    이에 형을 왕위에 앉힌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자기 자신이 먼저 왕위에 오를 경우 엄연히 형(정종 이방과)이 있음에도 ( 이방원은 5번째 아들이었으므로 ) 왕위를 탐내 난을 일으켜 당시 세자였던 방석을 비롯해 이복동생들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정종을 일단 즉위시키고, 물러나게 한 다음 방의(형)로부터 '왕 자리에 나는 별도로 관심 없다.' 라는 의사를 받아낸 후 즉위한 것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