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알을 낳는 포유류는 어떻게 존재하는 건가요?

포유류는 새끼를 낳잖아요.

근데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인데 알을 낳는다고 합니다.

가시두더지,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인데 어떻게 알을 낳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포유류지만 난생으로서 알을 낳아서 번식하는 동물입니다.

    이 경우는 진화론적인 측면에서 포유류로 넘어가기 직전이라는 학설이 존재하긴 하나 호주의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이렇게 알을 낳아 번식해서 생존하는게 생존확률을 더 높이는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는 유대류(Mammalia) 분류에 속하는 동시에 그들만의 특별한 하위 분류인 단공류(Monotremata)에 속합니다. 단공류는 포유류의 진화 초기 단계에서 분화된 유일한 현존하는 그룹입니다. 포유류의 특징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원시적인 파충류나 조류와 유사한 특성인 알을 낳습니다. 이는 포유류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초기 단계의 특성 일부를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알을 낳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단공류는 포유류 진화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생물군이기 때문에 포유류이면서 알을 낳습니다.

  •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가 알을 낳는 이유는 이들이 포유류의 초기 진화 단계인 단공류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단공류는 파충류와 포유류의 공통 조상에서 갈라진 뒤 알을 낳는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젖을 분비해 새끼를 키우는 포유류의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들은 자궁 안에서 짧게 발달한 배아를 알 형태로 낳고, 부화 후에는 어미의 젖을 먹으며 성장합니다. 이는 진화적 과도기의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포유류 중에서도 원시적인 생리적 특징을 가진 독특한 그룹입니다.

  • 안녕하세요.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가 포유류임에도 알을 낳는 이유는, 이들 포유류가 진화 과정에서 초기 포유류의 특성을 유지한 독특한 그룹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포유류의 분류와 진화적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포유류는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뉘는데요 1. 단공류(Monotremes): 알을 낳는 포유류 (오리너구리, 가시두더지) / 2. 유대류(Marsupials): 자궁에서 짧은 기간 동안 발달한 후, 새끼가 주머니에서 자라는 포유류 (캥거루, 코알라 등) / 3. 태반류(Placentals): 태반을 통해 새끼를 완전히 발달시킨 후 출산하는 포유류 (대부분의 포유류)입니다. 이때 단공류는 가장 원시적인 포유류 그룹으로, 이들이 알을 낳는 것은 초기 포유류가 파충류와 공통 조상에서 진화했음을 보여주는 특징입니다. 단공류는 알을 낳지만, 다음과 같은 포유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1. 젖을 먹임: 단공류는 포유류의 이름 그대로, 새끼에게 젖을 먹입니다. 다만, 젖꼭지가 없고 피부에서 젖이 분비되어 새끼가 핥아먹는 방식입니다. / 2. 털이 있음: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는 몸에 털이 있어 체온을 조절합니다.

  • 보통 포유류는 새끼를 낳아 젖을 먹여 키우는 동물로 알려져 있지만, 예외적으로 알을 낳는 포유류가 존재합니다. 바로 말씀하신 동물이 포함되는 단공목이라고 불리는 동물들인데 이들은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처럼 생소한 외모를 가진 동물들로, 호주와 뉴기니 섬 등 특정 지역에서만 서식합니다.

    말씀하신대로 단공목 동물들은 다른 포유류와 달리 알을 낳습니다. 암컷은 껍질이 부드러운 알을 낳고, 이를 품어 부화시킨 후 새끼에게 젖을 먹여 키웁니다.

    그리고 단공목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은 몸 밖으로 배설물, 생식세포, 오줌을 내보내는 구멍이 하나뿐인 단공류입니다. 단공목 동물들은 진화 과정에서 다른 포유류와는 다른 길을 걸어왔으며, 고대 포유류의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편입니다.

    그러나 단공목 동물들이 왜 다른 포유류와는 다른 번식 방식을 가지게 되었는지는 정확한 이유는 사실 아직도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고립된 환경에서 살아오면서 독특한 진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