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증시들이 상대적으로 강세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딱히 미국 경제 지표들이 좋게 나오는거도 아니라서
지표발표하는 당일날은 좀 주가가 박살나는 척 하다가
그 다음날은 아예 전고점을 돌파하는 반등이 나오는등 연일 증시가 강세인데요
코인쪽도 뭐 장이 마냥 나빠보이지는 않구요
이걸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라던가
금리인하는 확정적이니 기정사실로 받아들인 선반영 같은거로 해석해야 할까요?
그러면 막상 또 금리인하 정식 발표가 나오면 시장 확 안 좋아질거 같기도 하구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증시 흐름이 좀 웃깁니다. 지표 나오면 하루는 놀란 척 하다가 다음날은 또 전고점 뚫고 올라가니까요. 이게 전형적인 금리 인하 기대감 장세라고 보는 쪽이 많습니다. 시장이 미리 움직이고 뉴스는 뒤늦게 따라간다는 말도 있죠. 그러니까 미국 경제지표가 딱히 좋아 보이지 않아도 투자자들이 이미 연준이 인하할 거라고 생각하니 주가가 강세로 반응하는 겁니다. 다만 정식 발표가 나오면 오히려 실망 매물이 나올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합니다. 투자 심리가 앞서가면 실제 이벤트 때 반대로 흔들리는 경우가 많다고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증시들이 상대적으로 강세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기준 금리가 인하될 것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증시들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 선반영인 셈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관세 등의 불확실성도
어느정도 해소되고 있고 더불어서
향후 금리인하 가능성이 생기면서
이에 따른 증시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증시의 상승세는 완화된 관세 정책과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볼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실제로 이루어지면 재료 소멸로 보고 증시가 다시금 내려갈수도 있으나 50포인트 인하로 빅컷이 나오면 추가 상승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미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생각하고 있기에 주식과 코인 시장 모두 선반영되면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기준금리 인하컨센서스가 굉장히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저번주 금요일 발표된 미국의 고용지표는 기대치보다 크게 하회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컨센서스가 사실상 100%에 가까워졌고 특히 장기금리까지 하락한게 시장에 긍정적인 요인이었습니다. 그러면서 경기침체는 아니다라는 월가에서의 컨센서스가 형성된것오 강세의 요인입니다.
그러면서 2분기 실적도 빅테크들과 AI기업들이 여전히 매우 좋은 실적을 경신하면서 시장이 강세로 가는 버블국면으로 가고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증시시장이 좋아 보이는 것은 다 금리인하의 기대감 때문입니다. 이러한 금리인하의 기대감의 경우 올초 미 연준의 발표 하반기 2번정도의 금리 인하를 계획 중이다. 그리고 8월에 있었던 홀 미팅에서 금리 인하에 대한 발언을 한 것을 기준으로 9월 있을 fomc회의에서 발표를 기다리고 있기 떄문입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투자시장이 보다 활성화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어 주식시장이 아직 죽지 않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지표 부진에도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와 유동성 공급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방산 등 일부 섹터의 모멘텀도 지수를 받치고 있고 현금 비중이 높던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들어온 영향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첫번째로 미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선반영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금리인하되면 경기가 나쁘다하더라도 유동성이 좋아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리고 실제발표하면 더 추가로 오를수도 있고 뒤이어 경기하락신호의 신호가 크다면 또 하락구간으로 급히 넘어갈수도 있는 변동성이 높은 장이 될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