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8.04

우리나라 역사상 빗은 언제부터 사용했나요?

문득 거울을 보며 빗을 사용하다보니 궁금해지는데 언제 부터 우리 나라 사람은 빗을 시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는지 그리고 이런 댜중화는 언제 시작 되었나용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빗의 역사는 아주 오래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빗은 선사시대부터 있던 아주 오래된 도구 중 하나로, 길게 자란 털들을 정리하는 용도였습니다.

    처음에는 나무를 깎아 만들었다고 하며, 더 원시적인 방법으론 생선의 가시나 동물의 작은 뼈와 털, 나뭇가지를 빗처럼 썼다고도 합니다.
    이후 빗은 점점 장신구의 성격을 띄게 됩니다. 청동기를 지나며 청동 빗이나 옥과 같은 각종 보석을 이용한 장신구 빗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치 비녀처럼 머리에 꽂고 다니기도 했다는 모양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빗은 선사시대부터 있었으며, 처음에는 나무를 깎아 만들거나 동물의 작은 뼈 등을 이용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 빗으로 얼레빗, 참빗, 면빗, 음양소, 상투빗 등이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빗은 선사시대부터 있던 아주 오래된 도구 중 하나로, 길게 자란 털들을 정리하는 용도였습니다. 처음에는 나무를 깎아 만들었다고 하며, 더 원시적인 방법으론 생선의 가시나 동물의 작은 뼈와 털, 나뭇가지를 빗처럼 썼다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분벽화나 출토 유물들을 통해 삼국시대부터 머리를 빗고 단장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기록에는 없지만 그 이전에부터 사용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빗은 남녀 노소가 사용하는 기본 화장의 도구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머리를 건강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법으로 머리를 자주 빗으라고 권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조선시대 전통빗은 얼레빗과 참빗이 있습니다. 고대에는 아마도 나무로 만들어 사용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은 생선뼈로 머리빗을 사용했으리라고 추측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