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핫한거위147
핫한거위14723.08.11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는 이유는 뭔가요?

지금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면서 경제가 참 어려운 것 같은데 금리는 왜 내려가진 않고 올라가기만 할까요??

하루빨리 금리가 내려가고 해서 경제가 괜찮아 졌음 좋겠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는 정치 외교와 관련있습니다

    수출 흑자를 내는 중국 러시아와 척을 지니 무역적자가 생기고 세계적으로 다 어려우니 지속적 적자가 납니다

    무역에서 환율차이때문에 금리를 따라가는데 반대로 가계대출이 많은 서민들만 고생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 물가가 잘 잡히지 않고 있고 금리를 내리면 해외자본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계속해서 인상되는 가장 큰 이유는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황이었기 때문이에요.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어제 3.2%를 기록했는데 이는 미국이 목표로 하는 2%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기 때문에 고금리 시장 상황을 유지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한국의 기준 금리는 현재 3.5%이고 미국의 기준 금리는 5.5%로 2% 차이가 납니다. 한국의 기준 금리는 동결 상태임에도 금리가 오르는 것은 금융회사들이 해외 달러 차입 시 조달 금리 상승에 원인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해외 차입 비용이 올라가니 이를 만회 하기 위해 예대마진 폭을 넓히는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약 2022년부터 시작된 금리인상 기조는 결국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가 가장 큰 목적이라고 보여집니다.

    기준금리를 높이는 건 중앙은행이 물가를 잡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주식이나 코인 등의 자산가격은 하락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물가가 오를 것으로 기대하거나

    아니면 경기가 과열될 가능성이 높을 떄

    금리를 인상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인플레이션 대응: 경제가 과열되거나 물가 상승이 예상될 때,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소비와 투자를 억제하고 물가 상승을 조절하려고 합니다.

    2. 경기 회복: 경기가 침체 상태에서 회복할 때,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추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고 경기를 활성화시키려고 합니다. 이와 반대로 경기가 회복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생길 경우, 중앙은행은 금리를 다시 올릴 수 있습니다.

    3. 외환 시장 안정화: 통화 가치의 하락이나 외환 시장의 불안정성이 있을 때,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외환 유입을 유도하고 통화의 가치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4. 금융 안정성: 금리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경제 주체들이 과도한 부채를 늘리거나 위험한 투자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금리를 조절하여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현재는 1번 인플레이션 대응으로 인한 상승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