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올파동
올파동

금리가 올라가면 왜 채권가격이 떨어지나요

금리가 올라가면 왜 채권가격이 떨어지나요

궁금합니다

금리와 채권의 상관관계를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예시를 들어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와 채권은 금리와 주식시장과의 관계와 같은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채권은 발행할 때 표면금리가 정해져 있습니다만, 금리의 구조상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금리도 상승합니다. 채권금리가 상승한다는 것은 채권가격이 하락한다는 말입니다.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은 역상관관계입니다. 즉, 채권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은 하락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채권의 상품 특성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그 특성은 채권은 만기에 받는 원금과 이자가 정해져 있다는 것입니다

    • 따라서 채권은 중간에 어떠한 변수가 있어도 만기 금액이 정해져 있기에 금리가 변함에 따라

      현재 가격이 미래 가격에 맞추게 되어 있습니다

    • 금리가 올라가면 현재 채권 가격이 낮아지며 만기금액을 맞추는 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가 오늘 4% 금리를 주는 채권을 시장에서 매수했는데 추후 금리가 올라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5%의 금리를 주면 당연히 제가 과거에 매수한 4%금리의 채권은 시장가치가 하락하고 그에 따라 가격이 내려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와 채권의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는 관계가 있어요

    금리가 오를시 현재 금리가 3%인 상황에서 채권을 1,000원에 구매했을시 이 채권은 매년 30원의 이자를 줘요

    (3% 이자).

    그런데 금리가 5%로 올랐다고 가정해요. 이제 새로운 채권은 1,000원에 50원의 이자를 주게 돼요(5% 이자).

    그러면 기존의 채권은 인기가 없어져요. 왜냐하면 같은 돈을 투자해도 새로운 채권은 더 많은 이자를 주니까요.

    그래서 채권 가격은 떨어지게 돼요 금리가 내릴때는 반대의 입장이 되지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가격이 떨어지는 이유는 채권의 이자율과 시장금리 간의 역관계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만약 채권을 발행할 때의 이자율이 3%이고 시장금리가 2%일 때, 해당 채권은 시장에서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기 때문에 수요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 결과 채권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장 금리가 오르게 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표면 금리가 높아지는 대신

    이미 발행해서 유통되는 채권의 표면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면서

    채권 투자수익이 떨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결과적으로 그 매매가가 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는 이유는 새로 발행되는 채권이 더 높은 이자를 주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1,000원에 사서 매년 50원을 받는 채권이 있는 금리가 올라가서 이제 새 채권이 1,000원에 70원을 준다면 내 채권은 매력적이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내 채권을 팔려면 가격을 낮춰야 해서 채권 가격이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올라간다면 기존에 발행된 채권이 메리트가 사라지게 되고

    높은 금리로 발행되는 채권에 투자금이 몰리는 등 이에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가격이 떨어지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ㄴㅊㅎㄴㅎㄴㄷㅅㅈㅇ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는 이유는 채권의 고정 이자 지급과 관련이 있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운 채권은 더 높은 이자율로 발행됩니다.

    예를 들어, 시장 금리가 7%로 상승하면, 새로운 채권은 7%의 쿠폰율로 발행될 것입니다.

    기존의 5% 쿠폰율 채권은 새로 발행되는 7% 쿠폰율 채권에 비해 매력도가 떨어집니다.

    투자자들은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채권을 선호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존 채권의 가격은 떨어지게 됩니다. 기존 채권의 가격이 떨어져야 시장에서 거래될 때 새로운 7% 이자율 채권과 동일한 수준의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의 매력도라고 생각보시면 이해가 쉬우신데

    5% 금리 1,000만원짜리가 있다라고 가정하면

    현재 금리가 5% 이면 1,000만원 이지만

    금리가 올라서 5.5%가 되어 5.5% 1,000만원이 생기면

    상대적으로 5% 짜리의 매력도는 당연히 떨어질 것입니다. 5.5%이자를 준다는데 굳이 5% 할 필요가 없겠죠.

    그러면 자연스레 0.5%에 대한 금액만큼 가치가 하락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5% 1,000만원이 있는데

    금리가 내려가게되어 3~4% 이자로만 주고 있다라고 하면 내 채권의 가치는 올라가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예를들어 액면가가 만원이고 이자율이 10프로인 채권이 있다고 합시다. 다른채권이 없다면 이 채권은 만원에 거래가 되겠죠. 그런데 기준금리 인상이나 경기가 과열될것 같은 시장의 기대감으로 채권의 금리가 올라서, 액면가가 만원이고 20프로인 상품이 나오게 되면, 아무도 10프로인 상품을 사려고 하지 않을것입니다. 따라서 채권의 가격은 만원에 9천원 정도로 하락하게 됩니다. 그래야 이자까지 따졌을때 만기시 수령하는 가격이 같아지기 때문이죠.

    즉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은 떨어지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존에 3% 이자를 주기로 한 채권이 있는데 5% 이자를 주는 예금이나 채권이 새로 나오면 어떻게 될까요?

    3%채권을 팔고 더 고금리 주는 상품으로 갈아타고 싶어지겠죠?

    팔고싶은 사람들이 많아지니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1년만기 이자 10프로짜리 할인채를 100만원 산다고 하면 지금 90만원에 사서 만기에 100만원 받는거죠

    근데 이걸 1년만기 5프로짜리 할인채를 100만원 산다고 하면 95만원에 사서 만기에 100만원 받죠

    현재기준 10프로에서 5프로로 금리가 내려가는 5만원 더 비싸게 사는거죠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은 만기시점까지 부도 위험이 없다면 원금과 이자가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금리가 상승했기 때문에 과거에 발행된 채권에 비해 현재 발행되는 채권 및 예금의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즉, 과거에 발행된 채권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기 때문에 해당 채권의 인기는 하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과거에 발행된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운 채권은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게 됩니다.

    기존 채권의 이자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채권의 이자율이 높아지면 기존 채권의 상대적 매력도가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연 5% 이자율의 채권이 있을 때 금리가 상승하여 새로운 채권이 연 6% 이자율을 제공한다면, 기존 5% 채권은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지므로 채권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이렇게 가격이 조정되면서 기존 채권의 이자율이 새로운 채권의 이자율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예시)

    • 기존 채권의 상황:

      • 채권 A: 연 5% 이자율, 만기까지 5년 남음, 원금 1000달러

      • 채권 A의 연간 이자는 50달러입니다.

    • 금리 인상:

      • 금리가 상승하여 새로운 채권이 연 6% 이자율을 제공한다고 가정합니다.

      • 채권 B: 연 6% 이자율, 만기까지 5년 남음

    • 채권 A와 채권 B 비교:

      • 새로운 채권 B는 연 60달러(1000달러 × 6%)의 이자를 지급합니다.

      • 반면, 기존 채권 A는 연 50달러의 이자만 지급합니다.

      • 투자자들은 더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채권 B를 선호하게 되므로, 채권 A의 매력이 감소합니다.

    • 채권 A의 가격 조정:

      • 채권 A가 더 낮은 이자를 지급하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여 투자자들이 채권 B와 경쟁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 예를 들어, 채권 A의 가격이 950달러로 하락한다면, 이 채권의 실질 이자율(현재 이자 50달러를 950달러로 나눈 비율)은 약 5.26%가 되어, 새로운 채권 B와 가까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