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김밥이 만들어진유래가 어떻게 되는가요?
김밥중에서 그냥 밥을 김에 말아서 오징어깍뚜기김치하고 같이 먹는 김밥이 충무김밥이라고 있더군요 그런데 충무는 통영의 옛날지명으로 아는데 충무김밥은 어떻게 탄생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충무김밥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 중 하나는 해방 이후 남해안의 충무(현 통영)항에서 고기잡이를 나가는 남편이 고기 잡느라 식사를 거르고, 술로 끼니를 대신하는 모습을 본 아내가 남편이 안쓰러워 김밥을 만들어준 것에서 시작되었다고합니다. 처음에 아내가 싸준 김밥은 잘 쉬어서 못 먹게 되는 일이 많았고, 그래서 밥과 속(반쯤 삭힌 꼴뚜기무침과 무김치)을 따로 담아 주었는데 그 후에 다른 어부들도 점심 및 간식을 밥과 속을 따로 담은 김밥으로 해결하게 된 데에서 유래된 향토 음식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충무 김밥은 경상도 통영시의 옛 지명인 충무시에서 유래가 된 것으로 충무시에서 시작이 된 김밥이라고 해서 충무 김밥인데요. 충무김밥의 특징은 손가락 정도의 굵기에 속은 아무것도 없지만 김밥과 같이 먹는 깍두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석밖지라고 부르는데 크게 썰어낸 무김치와 오징어 어묵 볶음과 같이 있는 게 바로 충무 김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으로부터 들어온 일본의 노리마키와 가장 비슷한 공통점은 있지만 안에 내용물이 다르기에 충무 김밥은 우리의 독특한 음식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충무김밥의 유래는 2가지로, 1945년 광복 이후 남편이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느라 제 때 먹지못한 도시락 음식이 상해 결국 매번 굶는 모습을 보고 아내가 일을 하면서도 간편한 김밥을 만들어줬다는 것으로 과거 바다로 나가던 사람들이 끼니 해결용으로 대개 김밥을 싸 가지고 나았는데, 뱃일은 원래 하루 꼬박 잡아먹었고 밥 먹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아 점심 시간을 한참 넘겨 먹는일이 잦았습니다.
당시 고깃배에는 마땅한 냉장시설이 없어 김밥이 쉽게 상해버리는 문제가 있었고 이름모를 누군가가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고 해변가에서 김밥을 팔던 할머니가 이것에 대해 고민하다 김에 밥만 싸는 구성을 생각해 냈고, 그것만 먹으면 밍밍하니 거기에 잘 안상하는 반쯤 삭힌 꼴뚜기 무침과 무김치를 따로 싸서 팔기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 한가지는 통영은 해상 뱃길의 중심지로 통영여객선터미널에는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 이들을 상대로 주전부리를 파는 행상들이 많았고, 따뜻한 남쪽 날씨로 인해 상하기 쉬운 김밥을 밥과 반찬을 분리해 팔았다는 설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충무김밥이 통영의 명물로 등장한 것은 80년대 초부터 입니다.
통영이 충무라고 불리던 시기에, ‘국풍 81(1981년 5월 28일부터 6월 1일까지 5일간 여의도 광장에서 개최한 문화행사. 쿠데타로 집권한 신군부가 정권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무마하기 위해 계획한 눈가리개용 행사였다는 평가를 받음.)’에서 어두이(魚斗伊) 할머니가 판 김밥이 매스컴의 주목을 받으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했고
충무김밥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 중 하나는 해방 이후 남해안의 충무(현 통영)항에서 고기잡이를 나가는 남편이 고기 잡느라 식사를 거르고, 술로 끼니를 대신하는 모습을 본 아내가 남편이 안쓰러워 김밥을 만들어준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처음에 아내가 싸준 김밥은 잘 쉬어서 못 먹게 되는 일이 많았고, 그래서 밥과 속(반쯤 삭힌 꼴뚜기무침과 무김치)을 따로 담아 주었는데 그 후에 다른 어부들도 점심 및 간식을 밥과 속을 따로 담은 김밥으로 해결하게 된 데에서 유래된 향토 음식입니다.
또 하나의 이야기는 통영은 해상 뱃길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지금의 문화마당 자리에 있던 구 통영여객선터미널에 많은 사람들의 왕래가 있었고, 이 사람들을 상대로 팔기 시작한 것이 충무김밥이라는 것. 뱃머리 근처에는 배를 타는 사람들을 상대로 주전부리를 파는 행상들이 많았는데 따뜻한 남쪽의 날씨에 상하기 쉬운 김밥은 밥과 반찬을 분리해서 팔았다고 합니다. 당시 멸치어장에서 잡히던 주꾸미와 호리기 그리고 홍합과 무김치를 대나무 꼬치에 끼워서 김밥과 함께 종이에 싸서 팔았는데 배도 채울 수 있고 맛도 좋아서 인기가 좋았는데 이후 주꾸미는 구하기도 쉽고 도시 사람 입맛에 맞는 오징어로 대체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