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포근한사랑새206
포근한사랑새20622.10.23

미국 금리 인상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 질문드려요?

미국에서 계속해서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거기에 맞춰 금리를 올리는듯 합니다.

저번 금리인상때는 미국 인상율을 못 따라가면서 한국이 미국보더 기준금리가 더 낮아졌는데

11월 미국 금리 인상 후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지게되면 국내에선 어떤 영향이 미칠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도 곧 따라서 올릴지도 궁금하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 인상으로 국내 기업대출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기업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이 올해 양적 긴축과 재정의 정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달러화 강세도 무시하기 어렵습니다. 수입거래에서 달러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78%에 달하기 때문에 달러 강세가 장기화될 경우 비용 확대도 우려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기준금리가 격차가 벌어진다면

    외인의 투자자본 등이 유출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에 우리나라도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 올릴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금리가 높은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미국과의 기준금리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금리인상 시기는 올해 2번이 남았고 우리나라는 한번이 남았는데 각각 빅스텁이나 자이언트 스텝을 감행한다고 하여도 우리나라는 빅스텝정도로 마무리를 한다고 했을때 내년기준으로 금리역전차는 더욱더 벌어집니다. 이에 미국연준의 금리조정론이 제가된만큼 속도조절완화에 힘이 쏠리고 있는데 그럼에도 금리인상은 어쩔수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의 금리인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일단 금리가 높아진 시장으로 자본이 유출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금리가 올라가게되면서 금리역전현상이 나타나게되면 달러가 외국(미국)으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이번에 얼마나 될지 의견이 분분하지만 미국의 금리인상이 이루어지면 어쩔수 없이 우리나라도 어느정도는 따라가는 형국을 보일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3.25프로이며, 한국의 기준금리는 3프로인 상황입니다. 지난 10월 14일에 한국이 기준금리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환율이 기준금리 상승전에 0.75프로 격차였을 당시 환율인 1,430원대에서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는 실제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지 않더라도 미국이 기준금리를 어느정도 상승시켜 얼마가 될것이라는 기대치에 근거해서 움직이기 때문인데요.

    현재 미국이 11월 2일에 자이언트스텝이 높은확율임에도 환율이 상승하지 않은것은 곧이은 한국의 11월 24일 금통위에서 금리상승이 0.5프로가 예정되어 있어 실제 11월에 기준금리 차이는 0.5프로로 예상해서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리 이외의 변수가 발생한다면 환율이 큰 변동을 보일수 있으나 11월 중순까지는 1,430원대에 움직임을 보일것 같습니다.

    지금 핵심은 OPEC+의 11월 감산에도 미국의 인플레가 억제가 되느냐이며, 이에 따라 미국 12월 14일 FOMC금리 방향이 결정과 금리기조가 변화할수 있어서 11월 말부터 환율 변동이 심해질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