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창대군을 왜 대군이라고 부르나요?
왕의 적통은 대군의 봉호가 내려지는것이 법도였기는 하지만 선조가 살아있을당시에 영창대군은 대군의 봉호를 받지못했고 이후 광해군 즉위로 대군의 지위로 있었던 적이 없는데도 왜 대군이라고 호칭을 붙이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창대군에개 대군의 칭호가 붙은 이유는
고려 시대및 조선 시대에 왕자들에게 내려진 작호의 일종입니다.
조선의 경우 정실 왕비 소생의 왕자들에게만 대군의 호칭을 부여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조에게는 적자와 서자를 합해 총 14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 중 영창대군은 선조가 55세 때 얻은 유일한 적자 입니다. 이 때문에 영의정인 소북의 류영경 등은 한때 영창대군을 왕세자로 추대하려 했고, 이는 광해군 집권 후에 그가 억울하게 처형당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창대군은 선조의 적자로 광해군 3년(16011) 대군으로 책봉됩니다. 그러나 대북파 일파는 박응서 등에게 영창대군 추대 음모를 거짓으로 자백하게 하고 외할아버지 김제남을 반역죄로 사사되었으며, 영창대군도 폐서인이 되어 강화도로 유배되었습니다. 결국 그 곳에서 죽게되었습니다. 1623년 인조 반정이 후 다시 영창대군으로 복구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군은 조선의 왕자를 지칭하는 호칭으로
왕자가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사망할경우 '대군'이라는 칭호를 붙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영창대군은 왕위 계승의 가능성이 있었지만 광해군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유배를가 어린나이에 사망하게 되었는데 이후 '대군'이란 칭호로써 기록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