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유튜버 원천징수와 면세사업자 어떤걸 해야하나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면서 가끔 광고를 받는데요
1인크리에이터 용으로 면세사업자가 있는데 광고료를 이제까지 3.3%떼고 원천징수를 받았거든요.
면세사업자가 있는경우 사업자로 소득을 잡혀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3.3%떼고 광고료 받으면 될까요?
그리고 어떤 쪽이 더 유리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입니다.
개인이 유튜버로 활동하면서 사업장 관할 세무서에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로 사업자등록을
하고 구글 또는 사업자에게 광고 용역을 제공하고 대가를 수령하는 경우 3.3% 원천징수
대상 사업소득으로 지급받는 것보다는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로 하여 대가를 지급받는 것이
향후 소득세 신고시에 필요경비 처리에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차이 없습니다.
별도의 직원이나 사업장이 없는 유튜버라면 면세사업자에 해당하며 계산서를 발급하든, 3.3%로 원천징수가 되든 모두 사업소득으로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는 하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