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과 집안에 향기나는게 어떠한 연관이 있나요?
집에 방향제나 샴푸 섬유유연제 등등 이러한 향기가 나는것들이 많으면
성조숙증이 온다는 얘기가 있던데요
이게 과학적으로 밝혀진게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화학물질(특히 파라벤이나 프탈레이트와 같은 화학 성분)이 호르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 적은 있습니다. 다만 아직 이들이 성조숙증을 일으킨다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합니다. 성조숙증은 주로 유전적 요인, 환경 호르몬, 영양 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있죠. 그래도 너무 과하게는 안쓰시는게 좋을 듯 해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성조숙증이란 어린 나이에 신체 발달이 빨리 진행되는 상태를 말해요. 최근에는 환경 호르몬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가 있는데요, 이는 일상에서 사용되는 합성 화학물질이 호르몬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어요. 방향제, 샴푸, 섬유유연제 등에 포함된 화학물질인 프탈레이트와 같은 성분이 호르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있긴 하지만, 이로 인해 성조숙증이 직접적으로 발생한다고 확정 지으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집안에서 자연 성분의 제품을 사용하거나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모든 케이스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주의 깊게 관찰하며 아이의 발달 상황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해요. Особого внимания заслуживает здоровый образ жизни ребенка, включая сбалансированное питание и умеренную физическую активность.
집안에 향기가 나는 것 때문에 영향을 받아서 성조숙증이 발생한다는 주장의 구체적인 근거가 무엇인지 의문스럽습니다. 집안의 특정한 향이 난다고 하여서 성조숙증이 유발되거나 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성조숙증은 2차 성징이 조기에 나타나는 것으로 그 원인은 대부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성조숙증이 뇌의 병변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어린 나이에 발병하거나 남아에게 진성 성조숙증이 나타나면 뇌 MRI 검사가 필요하겠습니다.
그러나 성조숙증 여아의 90~95%, 남아의 50% 정도는 특별한 기질적 원인을 찾을 수 없는 특발성 성조숙증에 해당합니다.
사춘기 시작에는 영양적 요인과 신체 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비만이 있으면 사춘기 시작 시점이 빨라집니다.
환경 호르몬도 정상적인 내분비계 기능을 방해하며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