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12.03

중성자별은 중성자로만 이루어진 별인가요?

초신성이 폭발하면 중성자별이 되거나 블랙홀이 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중성자별은 왜 이름이 중성자별인가요? 중성자별은 중성자로만 이루어진 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중성자별은 별의 폭발 후 엄청 난 힘으로 중심핵이 압축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블랙홀이 만들어지기 직전 인 것이죠. 이 때 질문하신 것 처험 중성자들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대부분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성자별은 그 이름이 중성자의 축퇴압에 의해 중력과 별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때문에 중성자 별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중성자별은 거의 대부분 순전하가 없고 양성자보다 약간 무거운 핵자인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말씀처럼 중성자별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이 별은 오직 중성자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중성자 외에도 다른 입자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복잡한 구성은 중성자별의 독특한 특성과 성질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중성자별은 중성자(neutron)들로만 이루어진 밀도가 매우 높은 천체입니다. 태양 질량의 10배 이상 되는 무거운 별이 초신성으로 폭발한 후 남은 core부분으로 표면 온도가 매우 높고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신성 폭발 시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성자별은 중성자로만 이루어진 별이 맞습니다. 중성자별은 매우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서 중성자끼리 밀집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밀집된 중성자들은 전자의 수가 중성자의 수와 같아서 전체적으로 전하가 중립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성자별이라고 불리게 된 것입니다.

    중성자별은 그리고 매우 높은 질량을 가지고 있어서 중력이 매우 강합니다. 이러한 중력은 별 내부에서 발생하는 핵융합 반응을 억제하게 되어서 중성자별은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중성자별은 핵융합 반응이 멈추게 되고 별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면서 중성자별은 더욱 밀집되고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중성자별은 중성자로만 이루어진 별이라고 불리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중성자별(neutron star)은 중성자(neutron)들로만 이루어진 밀도가 매우 높은 천체이다. 태양 질량의 10배 이상 되는 무거운 별이 초신성으로 폭발한 후 남은 심(core) 부분으로 표면 온도가 매우 높고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그림 1, 2). 중성자별의 질량은 태양 질량 정도이며 반지름은 약 10 km 정도로 알려져 있어 평균 밀도가 5×1014 g cm-3 정도이다. 이렇게 높은 밀도의 별이 형성하는 중력은 매우 커서 일반적인 가스의 압력으로는 중력붕괴를 막아낼 수 없고 파울리(Wolfgang Pauli)의 배타원리에 의해 발생하는 중성자들의 축퇴압이 작용하여 중력붕괴를 버티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중성자별의 존재는 채드윅(James Chadwick)이 1931년 중성자를 발견한 2년 후인 1933년 바데(Walter Baade)와 쯔비키(Fritz Zwicky)가 초신성의 에너지 발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하였다.



    중성자별은 매우 작아 실제 모양은 관측할 수 없으며, 표면온도와 회전특성을 통하여 그 존재를 파악한다. 표면온도는 대략 1000,000 K 정도이며 회전주기가 0.001초에서 10초 정도로 관측된다(일부 부착 쌍성계에는 더 긴 주기를 가지는 중성자별도 있다). 중성자별은 매우 큰 자기장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회전 특성을 통하여 추정한 자기장 세기는 108-1015 G 이다. 대개의 중성자별은 전파, 엑스선, 감마선에서 강한 복사를 방출하며, 성운이나 초신성 중심부, 홑별(single star), 쌍성 또는 삼중성계에서 관측된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중성자별은 중성자로만 이루어진 별입니다. 중성자별은 질량이 태양의 약 1.4배 이상이고 3배 이하인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초신성 폭발을 겪고 남은 중심핵을 말합니다.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별의 중심핵에 있는 양성자가 중성자와 전자와 결합하여 중성자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중성자별(Neutron star)은 초신성 폭발 후 남은 별의 핵이 중력붕괴를 통해 축퇴되어 원자 내부의 원자핵과 전자가 합쳐져 중성자로 변하면서 만들어지는 별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초신성 폭발 후 별의 중심핵이 극단적으로 압축되어 남아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더 압축되면 물질이 붕괴해 블랙홀이 만들어집니다.

    중성자별은 거의 대부분이 순전하가 없고 양성자보다 약간 더 무거운 핵자인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