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 시험대신 수행평가가 나타난 이유는?
초등학교에서 시험 대신 수행평가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어렸을때는 시험을 보고 등수가 나왔는데 즈금은 수행평가를 많이 보네요
초등학교에서 수행평가 제도를 도입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초등학교 때부터 서열화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수행평가는 교육부에서 초등학교에 권장하는 시험 방식입니다.
학생들이 학습하는 모든 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평가할 수도 있고, 그림을 그리는 태도와 그림 결과를 함께 평가하기도 합니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그 학년에서 꼭 배워야 할 것은 '성취 기준'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단원평가, 교사평가를 병행합니다.
수행평가의 종류는 서술형, 논술형, 구술시험, 실기시험, 실험·실습, 면접, 관찰,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작품집 평가) 등으로 다양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 에서 시험 이라는 평가를 안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원이 끝나고 단원평가 라는 시험을 봅니다.
단,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예전에 수,우,미 라는 형식의 성적의 기록 하였다면 지금은 좋은, 보통, 우수 이런식으로 성적을
기록 한다 라는 것입니다,
수행평가 라는 것이 증가 한 이유는 물론 학업적 이론적 수업도 중요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다양한 아이들의 창의 + 상상력이 중요함을 강조 하는 시각이 많이 더 높아졌기 때문 입니다.
수행평가는 프로젝트, 토론.토의, 학습태도, 실기시험 등으로 평가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에서 시험 대신에 수행평가로 대체 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전에 암기위주의 시험 방식에서 학습 태도, 협력, 숙제, 문제 해결 능력등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의 능력을 평가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수행평가가 증가한 이유는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평가하려는 교육의 방향 변화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