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8

사춘기 청소년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사춘기가 된 자녀를 키우고 있는데 점점더 혼자 있기를 바라고 부모와의 대화 시간보다 스마트폰으로 놀거나 친구들하고 보내는 시간을 더 선호합니다 자연스러운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자녀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걱정이 되는가봅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가는 시기입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커집니다.

    이 시기에는 또래와의 관계를 우선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아이가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 말해줘'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 황정순 보육교사blue-check
    황정순 보육교사23.05.08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사춘기로 접어들면 혼자 있기를 원하고 부모 보다는 친구를 좋아하는게 자연스러운 현상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급하신 내용처럼 사춘기의 아이들은 부모와 대화 보다 핸드폰으로 놀거나, 친구를 하고 보내는 시간이 훨씬 많답니다.
    사춘기 자녀와 대화를 시작할 때는 자연스런 분위기와 주제로 접근하는 게 좋습니다.

    부모 입장에서 자녀에게 무언가 해주고 싶은 이야기나 정답을 이미 가지고 있는 상태로 '우리 얘기 좀 하자' 라고 심각하게 접근하면, 사춘기 자녀들은 벌써 눈치를 채고 불편하고 꾸중을 들을 것 같다는 마음이 느끼게 해서는 안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때 보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중의 하나로볼수있습니다

    이럴때는 아이에게 너무 밀접하게 다가가기보다는

    한걸음 뒤에서 지켜봐주시는것이 좋을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시기에는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 보다는 혼자 만의 시간을 선호하고 친구들과의 시간을 즐기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는 ㅎ자ㅣ만

    아이와 대화를 나누실때

    잔소리로 생각이 되는 말하는 대화보다는

    아이의 고민을 듣는 대화를 사용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오면 대부분 아이들이 혼자 있기를 원합니다. 부모와 대화도 잘 나누려고 하지 않는답니다.

    아이들과 갈등이 있을 때 다그치거나 혼을 내기 보다 아이의 감정이 가라 앉았을 때 차분하게 대화를 이어 나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