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가운데에 쓰레기가 정체되어 섬으로 쌓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태평양 한가운데에는 끝이없는 쓰레기가 정체되어 움직이 않고 가만히 즉 일종의 섬으로 쌓이고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평양 가운데에 쓰레기가 정체되어 섬으로 쌓이는 원인은 해류와 바람의 영향 때문입니다.
해류는 소용돌이 형태로 순환하는데, 큰 규모의 지속해서 순환하는 해류인 원형 순환 해류와 바람에 의해 쓰레기가 다른 해역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축적되어 거대한 쓰레기 섬을 형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대류나 이동이 있듯이
바다도 해류라고 해서 바닷물의 이동이 있습니다.
이 바닷물의 이동에 의해서 한곳에 바다 쓰레기들이 모이는 현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바다의 쓰레기들이 모이면서 쓰레기 섬이 생겨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평양 한가운데에 쓰레기가 정체되어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쌓이는 현상은 해류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평양에는 북태평양 환류와 남태평양 환류라는 두 개의 거대한 해류가 존재합니다. 북태평양 환류는 일본열도에서 시작하여 하와이 섬을 지나 캘리포니아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해류이며, 남태평양 환류는 호주에서 시작하여 뉴질랜드를 지나 남아메리카 남단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입니다.
이 두 개의 해류는 태평양의 표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쓰레기와 같은 부유물을 가두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북태평양 환류의 중심부에는 고속 해류가 형성되어 있어, 쓰레기가 이 지역으로 집중적으로 유입되고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태평양은 지구에서 가장 넓은 바다이기 때문에, 쓰레기가 한곳에 모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해류의 영향과 태평양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 태평양 한가운데에 쓰레기가 정체되어 섬처럼 쌓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해류: 태평양의 정체구역은 여러 해류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해류들은 쓰레기와 함께 바다를 돌고 돌며 쓰레기를 한 곳에 모으게 됩니다.
2. 바람: 바람도 쓰레기의 이동에 영향을 줍니다. 강력한 바람은 쓰레기를 수면 위로 밀어내어 정체구역에서 쌓이게 만듭니다.
3. 해류의 회전: 태평양의 정체구역은 해류의 회전이 일어나는 지역입니다. 이 회전은 쓰레기를 한 곳에 모아두게 되며, 쓰레기가 해류의 움직임과 회전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되어 섬처럼 보이게 됩니다.
또한, 쓰레기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일부 쓰레기는 분해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쓰레기가 오랫동안 정체구역에 남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