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내마음가는대로룰루랄라니나노
내마음가는대로룰루랄라니나노

대중음악을 작곡할 때도 법칙이 있나요?

옛날 음악시간에 몇박자에서 한마디에는 몇분음표가 몇개 들어가야하고..뭐 그런 규칙들을 배웠었는데 지금 싱어송라이터들이 키보드 치면서 하는걸 보니까 흥얼흥얼 하다가 좋은 멜로디가 생각나면 음정만으로도 곡을 만드는 것 처럼 보이더라구요. 요즘은 작곡할 때 그런 음악적인 규칙들을 지키지 않아도 되는건가요?아니면 불완전마디?뭐 그런걸 이용해서 만드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도도한듀공33
    도도한듀공33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음악에는 정해진 규칙이 있지만, 그 규칙을 지키지 않더라도 좋은 멜로디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싱어송라이터들은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기반으로 한 솔직하고 개성 있는 음악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규칙보다는 감성과 창의성이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음악 작곡에서도 자유롭게 불완전한 마디나 박자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멜로디가 흘러나오는 대로 자연스럽게 불완전한 마디를 만들거나, 일부러 리듬을 변형시켜 특별한 효과를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악을 만드는 것은, 기존의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음악적 표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음악을 만들 때 규칙을 지키지 않는 것은 언제나 쉬운 일이 아닙니다. 작곡가가 어떤 규칙을 깨야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지를 잘 알아야 하며, 그에 따라 적절한 불완전 마디나 박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음악을 만들 때는 기본적인 음악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므로, 항상 규칙을 배우고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연히 어떤 음악을 만들든지 작곡의 규칙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 규칙을 정하지 않으면 불협화음이나 리듬이 깨져서 음악 같지 않게 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