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의젓한사슴벌레78
의젓한사슴벌레7822.11.17

늦둥이 아들의. 거짓말 사소한거짓말을 하는데?

거짓말을. 자꾸하는데. 조금만한 금방들킬 거짓말을

하는데요 어떻게교육을. 해야할까요?

어떻게 얘기를 해야할까요,

혼내키는 것만이 답이아닌듯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거짓말을 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혼내는게 답이아니라고 말미에 적어주셨는데, 오히려 지속적으로 훈육을 해주셔야합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주의력이 부족하다고 하셨는데 아동발달센터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잘못을 한 것에 대하여 혼을 내지 마시고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하여 혼내시길 바랍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한다면 추후 아이가 좋아하는 것들을

    제한함으로써 거짓말을 하지 못하도록 하게 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바람이나 생각을 그대로 말합니다.

    그래서 자신은 거짓말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거짓말할 때, 거짓말에 대해 야단치기에 앞서 거짓말 뒤에 숨겨진 아이 마음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거짓말을 했다고 심하게 다그치거나, 혼을 내기 보다는 거짓말을 했어야 하는 아이의 마음에 먼저 공감을 해주고,

    정확히 사실대로 짚어 주는 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사소한 거짓말을 한다고 하시면

    그럴때마다 아이에게 엄하게 훈육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때문에 오히려 진실을 말하면 유하게 용서해주시는 모습을 보이시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할때

    혼내는 것보다는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면서

    거짓말을 하는 행동이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알려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의도적이지 않은 거짓말의 경우 약 4 ~5세에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학령기에 접어들면 대부분 사라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점차 줄어들 것이니 기다려 보시기 바라며,

    그럼에도 거짓말을 할 때 안된다는 교육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거짓말을 하는 아이의 경우 부모에게 칭찬을 받은 경험으로

    인해 거짓말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였을 때 부모의 기쁨보다 거짓말을 한 아이에 대한 정확한

    훈육이 아이의 나쁜 버릇을 고쳐줄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