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통합증거금으로 해외 주식 매수하고 매도하면 어떤 통화로 들어오나요?

통합증거금 서비스를 이용하면 환전하지 않고 원화로 해외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매도한다면 어떤 통화로 들어오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통합증거금으로 매수를 하면 원화로 사는것 같지만 나중에 다 환전되서 정산 됩니다.

    매도하게 되면 자동으로 원화로 들어오진 않고 달러로 계좌에 들어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매도를 한다면

    이에 따라서 달러로 정산이 되고

    달러로 보유하게 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합증거금 서비스를 이용한 해외 주식 매도 시의 통화 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매도 후 자금 입금 통화

    해외 주식을 매도하면 해당 주식이 상장된 시장의 통화로 자금이 들어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주식 매도: **USD(미국 달러)**로 입금.

    일본 주식 매도: **JPY(일본 엔화)**로 입금.

    유럽 주식 매도: **EUR(유로)**로 입금.

    2. 통합증거금과 환전

    통합증거금 계좌를 사용할 경우, 원화를 사용하여 매수를 했더라도 매도 대금은 원화로 바로 입금되지 않고 해당 시장의 통화로 입금됩니다.

    이후 환전 처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통합증거금 서비스는 이 환전 과정을 간소화하여, 투자자가 환율 변동을 신경 쓰지 않고 필요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원화 환전이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3. 환전 처리 방식

    자동 환전: 일부 증권사에서는 매도 대금을 자동으로 원화로 환전해주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수동 환전: 투자자가 직접 환전 시점을 선택하여 환전 요청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환전 수수료: 원화로 환전 시 증권사에서 정한 환전 스프레드(수수료)가 적용됩니다. 통합증거금 서비스에서는 할인 혜택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결론

    매도 후 대금은 주식이 상장된 시장의 통화로 입금됩니다.

    원화로 사용하려면 환전 과정이 필요하며, 통합증거금 계좌는 이 과정을 간소화합니다.

    환전 수수료와 환율 변동을 고려하여 환전 시점을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합증거금은 주식 매매 시 원화 및 외화를 환전 절차 없이 통합해 증거금으로 사용하고 결제일에 필요 금액만큼 자동 환전하는 서비스로, 원화로 들어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