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더듬이로 보는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아이가 언어발달이 느려서 33개월 쯤이 말이 트였구요.
72개월지났구요 좀 표현이 아직 서툰것은 있으나, 이제 제법
말은 많이 늘었습니다.
그런데 말을 좀 더듬는데 ... 애매한 것 같아요.
안더듬고 말할 때는 하나도 말을 안더듬고 잘 하구요.
더듬을 때는 -어어어 아까는 어어어어친구가 어어어 과자를 어어어 먹는데~
처럼 단어마다 다 더듬기도 해요.
횟수를 정확히 세어보진 않았지만
많으면 10번말하고 3번정도 더듬고
안할 때는 30번 말하고 한번정도 더듬는 정도 같아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말더듬는 증상으로 인해 걱정이 되겠습니다.
말더듬은 매우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말더듬이라는 단어조차 단순히 말을 더듬지 않는 제3자가 보았을 때 느끼는 것 그대로 옮겨놓은 겉보기 증상일 뿐입니다. 따라서 말막힘이라는 표현이 말더듬을 표현하는데 적절하다고 일부 학자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말더듬의 가장 전형적인 증상인 반복은 상기한 대로 특정 부분을 매끄럽게 발음하지 못하고 이를 반복하는 것으로 반복의 대상은 크게 단어, 음절, 음소입니다. 음절 반복이 가장 흔하며, 연장, 긴장, 지연은 말을 더듬지 않으려고 지나치게 신경을 쓸 경우 나타나기 쉽다고 합니다.
질문자님의 아이 같은 경우 지연의 유형처럼 보여집니다.
지연 : "어.. 그............기차 타러 가요
이런 형태라고 합니다.
언어치료센터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또박또박 전달하는 것이 아직 미흡해서 그렇습니다.
아이에게 빨리 말을 전달하려고 하지 말고, 머릿속을 생각을 정리한 후 천천히 자신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느낌을 천천히 또박또박 말을 하라고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충분히 자신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느낌을 천천히 이야기 하면 끝까지 집중해서 들어주시고, 아이에게 빨리 말하라고 보채거나 짜증을 내거나 아이의 이야기를 무신경 하는 태도는 보이셔는 안됩니다.
한 번 말 더듬는 것도 습관이 되기 때문에 또박또박 말을 전달하는 연습을 자주 시켜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더듬는것은 언어 유창성 장애라고볼수있으며
아이의 나이에 따라서 다를수있으나, 말을 하면서 더듬는과정이 지속되면 정기적으로 치료를 받아볼필요가 있을수있으며
아직 72개월이라면 조금 더듬거나 할수도 있으나
예방적 차원상 검사를 한번 받아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또래 친구들에 비해서 말을 자주 더듬는다고 느끼신다면 언어 발달 센터에서 검사를 진행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어릴수록 언어 치료가 효과적이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언어가 제대로 발달하고 있는지, 언어 진단 검사를 받아 보는 게 좋겠어요.
문제가 있어서 라기 보다는 우리 아이가 다른 또래들에 비해서 어느 정도 평균적인 언어가 되고 있는지 점검을 하는 것도 좋겠어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인지와 발달에 문제가 없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들 같은 경우 언어의 습득과 발달이 아이마다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아이가 또래 아동에 비하여 인지나 발달에 문제가 없다면 성장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좋아지므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사람의 성향과 성격이 다 다르듯 아이의 발달 또한
사람마다 다 다르고 개인차가 있습니다. 운동성은 빠르나 언어성은 느리기도 하며 그와는 반대로
언어성과 인지능력은 우수하지만 운동능력과 대소근육발달의
지연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발달은 누구에게나 공통으로 똑같지 않기 때문에, 느린 경우와 빠른 경우
다양하니 언어를 자주 접하게 하는 등의 노력을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사람을생각해보면
100번말해서더듬는사람은없습니다.
이미 아무것없는환경에서 더듬는다는건 상황의변화에따라더크게더듬을수도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