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부인의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여름철에 대나무로 만든 죽부인의 이름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그런 이름이 붙여진 이유가 어떻게 되는거고, 언제부터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설화이인데 재미있는 아들 오형제 이야기에서 나왔습니다.
부모님이계속 여섯째까지 낳으려고 하자 아들들이 다나무로 만들어준것이 죽부인 입니다.
죽부인이 시원하고 좋아 죽부인하고만 자서 아들들이 안심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죽부인은 중국으로부터
전래가 되었는데, 중국 당대에는
죽협슬(竹夾膝)이라고 했다가,
송대(宋代)에 와서
죽부인이라고 불렀다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죽부인에 대한 유래로는 어느 노부부에게 아들 5형제가 있었습니다. 이 노부부가 아직도 잠자리를 같이하는것을 보고 형제들이 시기 질투해 자식 하나더 나을까봐, 부모를 격리 시키기로하고, 대나무로 만든 가짜 부인을 만들어 주었다해서, 죽부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부모가 쓰던 죽부인은 자식이 쓰지 못한다고 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죽부인이라면 이곡이 지은 가전체 소설 '죽부인전(竹夫人傳)'을
연상하지만 여기서는 소설 죽부인전이 아니다. 가구 죽제품인 죽부인을 말한다. 고려 말 한문으로 씌어진 이곡의 소설 '죽부인전'은 여성의 절개를 대나무에 비유하여 당시 퇴폐해
가는 사회에서의 이상적인 여인상을 그린 것이다. 사회에 경종을 울리려는 의도가 담긴 소설이라 하겠다. 이같은 소설이 중국에도 있으니 송나라 장뢰와
원나라 양유정의 '죽부인전'이 그것이다. 둘 다 죽제구를 의인화한 고전 소설로서 맥을 같이한다. 이제부터 말하려는 '죽부인'은 대나무로 만든 피서용 취침 용구이다. 중국 당나라 때는
죽뢰술이라 불렀다가 송나라 때에 이르러 죽부인 또는 죽희(竹姬)라고 불렀다.
조선조 이유원의 글 '임하필기'에 보면 "무더운 여름 평상에서 죽부인을 두고 수족을 쉰다.
그 가볍고 시원함을 취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잘 마른 황죽을 참숯에 지지면서 엮어 만든 것으로 길이는 대략 넉자 반, 지름은
한아름 정도이다. 구멍이 나도록 성글게 짜서 원통형이 되게 한다. 살결이 닿을 때
감촉이 좋고, 가시에 찔리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 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잔손이
간다. 못이나 철사를 사용하는 것은 금물이다. 그리고 숯을 지져서 색을 내는 거외에는 생숯을 칠하는 등 가공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여름철 땀에 씻기거나 묻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삼베 홑이불을 씌워 죽부인을 가슴에 품고 한 다리를 척 걸치고 자면 시원하게 잠을 이룰 수
있다. 구멍이 뻥뻥 뚫리고 안이 텅 비었기 때문에 시원함이 유지될 뿐 아니라 대나무의 촉감이 또한 시원함을 준다. 이래서 여름 한철 죽부인을
사용하는 것은 피서방법으로 최고이며, 자식된 도리로서 노부모에게 죽부인을 선물하는 것은 효도라고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최근 죽부인을 선물하는
자식들이 늘어나 죽부인의 값도 이제는 매우 비싼 편이다. 일부에서 전하는 짖궂은 세간화(世間話)가 있다.
아들 5형제를 둔
노부부가 아직도 잠자리를 같이한다. 형제가 밖에서 이 모습을 보고 투정을 한다. "아버지, 어머니는 우리 5형제를 두고도 모자라 또 자식을
만들려고 하니 딱하기도 하다. 여섯째가 태어나면 우리만 골탕을 먹는다. 업어 키워야 하고 똥오줌 치워야 하니 그 짓도 이젠
지긋지긋하다." 이리하여 5형제는 궁리 끝에 부모를 격리시키기로 작정을 하고 대나무로 가짜 부인을 만들기로 했다. 뒤뜰에 무성히 자란 대나무를
쪼개 얼기설기 엮어 만들어 안고 자기에 알맞은 정도의 긴 죽통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것을 아버지에게 드렸다. 때는 무더운 여름이었다.
5형제가 만들어 준 죽통을 안고 자보니 사람을 껴안고 자는 것보다 훨씬 시원하고 잠이 절로 들었다. 아버지는 자식들이 한없이 기특하고 고마웠다.
한편 5형제는 나름대로 여섯 번째 동생이 생기지 않아 짐을 더니 기뻤다. 이를 이름하여 죽부인이라 한다. 그래서 부모가 쓰던 죽부인은 자식이
쓰지 못한다. 부모가 사랑스럽게 안고 자던 '죽부인'이기 때문이다. 죽부인은 담양 제품이 으뜸이다. 담양은 죽세공예가 발달하여 담양장은 전국
각지로부터 죽세품을 구하러 오는 상인들로 죽제품 시장으로도 유명하다.
죽부인에 얽힌 탄생설화
부모님께 드리는 효도선물 대나무의 생태로 보아 절개, 순결, 곧고 바른 품성등을 상징하는 것은 동양뿐 아니라 동서고금을 통해 보편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은 대나무를 여성 상징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죽부인도 여성화로 보는 것은 사용자가 주로 남성이라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일본과 중국의 설화에서 대나무의 여성화가 짙게 돋보인다.
일본의 고대 설화
문헌이나 구전 설화의 한 유형을 이루는 다깨토리모노가타리와 중국의 죽중생탄설화(竹中生誕說話)는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일본의 설화부터
소개한다. 옛날 한 죽세공 노인이 대나무를 베고 있었다. 광채가 나는 대나무가 있었는데 가까이 가니 아름다운 여자아이가 대나무에서 나왔다. 그
아이를 가구야히매라고 이름지었다. 그녀는 크면서 더욱 미려해졌는데 소문을 들은 사람들이 구혼을 하러 왔다. 그러나 가구야히매가 낸 문제를 풀
수가 없어 모두 실패했다. 어느날 하늘에서 가구야히매를 데리러 왔다. 가구야히매는 노인이 일생 편히 먹을 것을 마련해 주고 보름날 달의 신선을
따라 달나라로 승천했다.
한편, 중국의
죽중생탄설화의 하나인 반죽처녀(班竹 姑娘)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금사강 유역은 기후가 따뜻해서 여러 종류의 대나무가 무성하게 자란다.
이중에서도 사람들은 남죽을 좋아했다. 이 강변에 한 가난한 여인이 아들 난빠와 함께 살고 있었다. 난빠는 어려서 대나무 숲에서 놀며 자랐다.
한편 이 지방의 영주는 욕심쟁이로 대나무를 깡그리 베어 팔아 폭리를 거두고 있었다. 어느날 난빠는 자기가 좋아하는 남죽 하나를 몰래 숨겨놓았다.
영주가 가버린 뒤 숨겨놓은 대나무 안에서 여인의 울음소리가 들렸다. 자세히 보니 여자아이였다. 아이는 무럭무럭 자라 어엿한 처녀가 되었다.
이들이 혼인을 해서 어머니와 함께 행복하게 살았다. 그러나 미인이라는 소문 때문에 난빠의 아내는 몇 번이나 고난을 당했으나 구사일생으로 위기를
모면하곤 했다. 마침내 하늘이 이들을 도와 악당을 물리치고 행복을 누리게 해주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런 줄거리와는 좀 다르다.
'형제와 개'라는 민담이 있다. 대나무가 하늘의 보고(寶庫)를 뚫어 하늘의 보물을 많이 얻게 된느 아우 이야기다. 또 그 형이 대나무를 베어다
저희 마당에 심었더니 하늘 뒷간을 뚫어 오물이 쏟아져 큰 욕을 보았다는 권선징악적인 요소가 농후하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