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은 우리 말로는 초(超)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 중에서도 최악이었다고 하는 2차 세계 대전 후의 헝가리에서는 인플레이션 율이 억 단위도 아니고 조 단위도 아닌 1 뒤에 0이 26개가 붙는 퍼센트였다고 하니, 살인적 수준의 인플레이션입니다.
경제학 학계에서 인정된 것은 아니지만 대개 월 인플레이션이 50% 이상이거나, 연 인플레이션이 200% 이상인 상황을 하이퍼인플레이션(초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나라가 초인플레이션 상태에 빠지면 단순히 물가가 어마어마하게 오른다는 문제만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물가가 통제 불능의 상태로 오르고 그 나라 화폐의 신뢰도가 바닥으로 떨어져 휴지 조각이 됩니다.
생산은 축소되고 투자도 이루어 지지 않습니다. 생산이 되지 않으니 물자 부족은 더 심해져 또 다시 가격이 인상되는 악순환에 들어섭니다. 생산도 안되고 투자도 안되니 실업이 만연해지고, 나라 경제의 지출을 가능하게 할 조세 수입도 거의 없게 됩니다.
경제는 파탄 지경에 이르고 조세 수입도 없으니, 정부는 국채 이자 지급, 연금 지급, 정부 공무원 월급 지급 등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초 인플레이션을 겪는 정부는 이런 상황을 마주 하면 돈을 마구 찍어내는 최악의 선택을 하게 됩니다. 돈을 갚기 위해 돈을 찍어 내는 것을 ‘통화 증발’이라고 하는데요, 초 인플레이션을 겪은 나라들은 이런 상황에서 예외 없이 통화 증발을 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 발생 원인은 정부가 단순히 확장 재정정책을 편다고 해서 일어나는 현상은 아닙니다. 경상 수지 적자가 누적되거나 경제가 파탄 지경에 이를 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긴 하나, 어떻게 해서든 경제가 돌아가고 최소한의 합리성을 가진 정부라면 피할 수 있는 것이기에, 지나친 우려는 기우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이 누적되어, 일단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이를 되돌리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재정의 건전성과 신뢰성을 회복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입니다. 통화정책만으로는 초인플레이션을 해결할 수 없으며, 대부분의 역사적인 초인플레이션 현상은 '재정개혁'으로 종식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