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는 환율이 높아지면 어떻게 되나요?
최근 환율이 1400원대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갑자기 환율이 급등한다면 우리나라 주식이 대체로 어떤 흐름을 보일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급등하게 되면 수출 관련 기업의 주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율이 급등하면 원화가 약세를 보인다는 의미인데,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상승해
수출이 늘어날 가능성 또한 있습니다.
반면,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이나 외환 부담이 큰 기업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급등하면 수출주가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원자재 수입비용 상승 등으로 다른 기업들에는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출주 중심으로 주식 시장에 긍정적 반응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환율이 급등 하게 되면 외국 자본이 이탈 될 우려가 커지게 되기에 국내 주식 시장이 하락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또한 원화 약세가 지속되면 수입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내수 기업, 중소기업에 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칙 됩니다. 그러나 반대로 수출 기업은 가격 경쟁력 상승으로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는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현재의 환율보다는 미래의 환율전망이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나라 시장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은 환차손도 생각을 하게 되는데 미래에 환율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 생각하면 국내주식을 사지않고 오히려 매도하게 됩니다. 반면 현재 환율이 고점이고 향후에는 환율이 하락할 것이라 예상하면 환차익을 생각해서라도 국내주식에 투자할 유인이 높아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면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한국의 경제 성장율이 크게 낮아 질 수 있으며 시장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증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환율이 높아지는 시기에는
우리나라의 경제가 어려운 시기가 많은 등
이에 따라서 국내증시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국내 증시는 업종별로 상반된 영향을 받습니다.
수출 기업은 원화 약세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매출과 이익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반면, 원자재나 부품을 수입하는 내수 기업은 비용 증가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율 상승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원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손실 위험성을 높여 국내 증시에서 자금을 회수해 갈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환율 급등은 대외 경제 불확실성을 키워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요약하면, 환율 상승은 수출업종에는 긍정적이지만 전체 증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올라가게 되면 우리나라의 화폐의 가치가 떨어 지게 됩니다.
이런 화폐가칭 ㅣ 하락은 결과적으로 주식가격의 상대적인 가격아 떨어지게 됩니다.
환율로 인한 주식가치의 하락과 정세불안으로인한 주삭가격까지 떨어지게 되면 투자자는 더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환율이 급등하게 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그만큼 '환차손'을 보게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국내 주식을 팔고 달러로 바꿔 나가려는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주식이 하락하는 흐름을 보이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증시는 환율이 높아진다면 외국인들의 투자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다만 국내에서 외국으로 투자하려는 사람들은 망설일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