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수리무
수리무

신라의 골품제도에서품은 어떤 사람이 받나요?

신라에는 골품제도가 있어서 성골,진골,품으로 나눈다는데 성골은 왕족같고

진골은 귀족같은데 그러면 품은 일반백성이 받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두품제에선 6두품이 가장 높고 1두품이 가장 낮습니다. 4두품부터 관직에 오를 수 있으며 3~1두품은 신라 중대로 넘어오면서 평민화가 됩니다. 3두품 이하는 벼슬에 오를 수 없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국가로 발전하면서 신분제가 만들어 집니다. 왕을 포함한 귀족, 평민, 천민으로 나누어 지고, 귀족들 사이에도 또 다시 신분제가 만들어 집니다. 대표적인 것이 골품제입니다. 골품 제도는 왕족인 성골과 진골의 '골'과 그리고 그아래 지배층인 '두품'으로 나눕니다. 왕족 이외의 사람들은 모두 6등급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등급별로 오를 수 있는 관직이 달집니다. 처음 6,5,4두품은 족장급, 3,2,1두품은 그 아래의 관리였으나 1~3두품은 얼마지나지 않아 평민화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성골과 진골은 '귀족 가문'이(* 초기에는 성골이 왕위를 이어가다가 성골이 사라지자 진골이 왕위를 계승하게 됨.), 그 외에 6두품, 5두품, 4두품 등은 중간 계급이, 3두품 이하는 사실상 평민들이 받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의 골품제도는 여덟단계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왕족은 성골과 진골로 구분되고 왕족이 아닌 신분은 진골에서 6까지의 두품으로 나뉘어졌습니다. 숫자가 높은 두품이 더 신분이 높았습니다. 두품에 경우에는 왕경에 거주하는 귀족 계층에 대해서만 적용했던 신분제로 보입니다. 성골은 왕위계승권을 가진 왕족으로 매우 폐쇄적이고 숫자도 적었습니다 . 진골은 신라 왕족 및 최고의 귀족이 가진 신분이었습니다. 6두품은 진골 바로 아래 귀족 신분입니다. 5두품은 6두품아래로 주로 촌장계층입니다, 4두품은 5두품 아래 최하위 귀족계층입니다. 지방의 촌주가 해당됩니다. 통일기에는 성골이 사리지고 지고 1-3두품도 없어져 진골-6두품-5두품-4두품-평민의 5단계만 있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