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골품제도에서품은 어떤 사람이 받나요?
신라에는 골품제도가 있어서 성골,진골,품으로 나눈다는데 성골은 왕족같고
진골은 귀족같은데 그러면 품은 일반백성이 받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두품제에선 6두품이 가장 높고 1두품이 가장 낮습니다. 4두품부터 관직에 오를 수 있으며 3~1두품은 신라 중대로 넘어오면서 평민화가 됩니다. 3두품 이하는 벼슬에 오를 수 없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국가로 발전하면서 신분제가 만들어 집니다. 왕을 포함한 귀족, 평민, 천민으로 나누어 지고, 귀족들 사이에도 또 다시 신분제가 만들어 집니다. 대표적인 것이 골품제입니다. 골품 제도는 왕족인 성골과 진골의 '골'과 그리고 그아래 지배층인 '두품'으로 나눕니다. 왕족 이외의 사람들은 모두 6등급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등급별로 오를 수 있는 관직이 달집니다. 처음 6,5,4두품은 족장급, 3,2,1두품은 그 아래의 관리였으나 1~3두품은 얼마지나지 않아 평민화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성골과 진골은 '귀족 가문'이(* 초기에는 성골이 왕위를 이어가다가 성골이 사라지자 진골이 왕위를 계승하게 됨.), 그 외에 6두품, 5두품, 4두품 등은 중간 계급이, 3두품 이하는 사실상 평민들이 받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의 골품제도는 여덟단계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왕족은 성골과 진골로 구분되고 왕족이 아닌 신분은 진골에서 6까지의 두품으로 나뉘어졌습니다. 숫자가 높은 두품이 더 신분이 높았습니다. 두품에 경우에는 왕경에 거주하는 귀족 계층에 대해서만 적용했던 신분제로 보입니다. 성골은 왕위계승권을 가진 왕족으로 매우 폐쇄적이고 숫자도 적었습니다 . 진골은 신라 왕족 및 최고의 귀족이 가진 신분이었습니다. 6두품은 진골 바로 아래 귀족 신분입니다. 5두품은 6두품아래로 주로 촌장계층입니다, 4두품은 5두품 아래 최하위 귀족계층입니다. 지방의 촌주가 해당됩니다. 통일기에는 성골이 사리지고 지고 1-3두품도 없어져 진골-6두품-5두품-4두품-평민의 5단계만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