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시대에 전쟁을 하려면 보급은 얼마나 인원이 필요했나요?
중세시대에 전쟁을 수행할 때 전쟁을 치르는 이들에게 정상적으로 보급을 해주기 위해서는 전쟁 치르는 병력대비 어느정도의 보급인원이 필요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재미있는 질문 감사합니다.
중세시대의 보급과 관련하여 찾아낸 자료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군대의 보급-
산업혁명 이전의 보급의 형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약탈형 보급
2. 민간업자 (상인, 중간업자 등)의 보급
3. 징발형 보급
이 세가지 보급 형태 중에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로 통제가 원할한 형태의 국가는 주로 세 번째 형태 (징발형)의 보급이 주를 이루고, 비교적 병력 규모가 적고, 중앙집권화의 진행이 덜 된 국가들은 첫 번째와 두 번 째 형태의 보급이 주를 이룹니다. 두 번째 형태인 민간업자를 통한 보급은 중앙집권 국가 든 아니던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의 보급형 이기도 합니다. 현대 국가에서도 군수품의 많은 부분을 민간업체 (혹은 군수업체)에서 공급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어쨋거나, 30년 전쟁 이전(로마 제국 멸망 이후)의 유럽군의 보급은 주로 약탈과 민간업자의 보급에 의존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약탈에 의존하는 보급은 군대가 지나가는 지역이 초토화 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으나, 군 사령관의 입장에서 보면 보급부대가 거의 필요없을 뿐더러, 짭짭할 부수익(약탈품)으로 군대운용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습니다. 약탈형 보급의 또 다른 약점이라면, 약탈에 의지하는 군대는 대규모의 병력운용이 거의 불가능하고, 군대가 한 지역에 오래 머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민간업자가 군대에 필요한 물품을 납품하는 방식은 중세 뿐만 아니라 근대에 와서도 널리 활용된 방식인데 이 경우 대게 상인들이 군대에 필요한 식량이나 무기 등을 타 지방이나 주위에서 구입한 다음, 군대에 판매했습니다. 대규모 군대 (수만명 급의) 에 상인을 통해 식량을 보급할 경우에는 대게 국왕이 전쟁기간 (혹은 전시 초기)에 모든 식량의 판매를 금지시키는 칙령을 내리고, 상인들에게 필요한 물자를 조달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상인들이 공급하는 방식은 국왕의 입장에서 보자면, 보급체계의 유지에 필요한 관료조직을 운용하지 않아도 보급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상인들의 동원능력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상인들 만으로 대규모의 군대를 운용하기에는 힘들다는 단점도 있었습니다.
징발을 통한 보급방식은 중세유럽에서는 널리 쓰이지 않은 방법이나 근대유럽 및 중, 근대 중국 에서 많이 쓰인 방식입니다. 이 경우 국가가 방대한 양의 보급품을 징발할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 군대의 유지, 보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효율적인 징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방대한 규모의 관료제도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었습니다. 징발제도는 보통 전쟁터에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서 식량을 모은다음 지방관의 관할 하에 보급품을 군대로 보냈습니다. 중세 영국의 경우 각 주를 담당하는 주장관이 그 지역에 할당된 보급품을 전쟁터로 운반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이 임무를 총괄하는 임무는 주로 학문이 뛰어난 고위 성직자들이 맞는게 일반적이었습니다. 근대유럽에서 이 보급품을 징발하는 사람들은 각 지역의 행정관들이 총괄했습니다. 예를 들어, 국왕의 재무장관 (혹은 군 보급의 책임자)이 A 라는 지역에 3000석의 식량을 B 지역까지 집결시키라고 했다고 하면, A 지역의 행정관은 3000석의 식량을 책임지고 B 지역까지 운반했습니다.
<https://m.cafe.daum.net/Ritter/1g22/10 원본 링크>
그럼 도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