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계수는 어떻게 산출이 되며 의미하는 바가 궁금합니다.
지니계수는 이탈리아의 인구통계학자 지니가 1912년에 개발했다고 합니다.
한 나라 안에서 마이너스 소득인 가구가 없다는 가정을 전제로, 지니계수는 0과 1사이에서 산산되며 소득분배 정도를 나타낸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지니계수는 어떻게 산출이 되며 의미하는 바가 궁금합니다.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는 한 사회나 국가의 소득 분배가 얼마나 평등한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1912년 이탈리아의 인구통계학자 코라도 지니가 개발한 이 계수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평등하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입니다.
지니계수는 로렌츠 곡선을 바탕으로 계산되며, 로렌츠 곡선은 인구의 누적 비율과 소득의 누적 비율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만약 모든 사람이 동일한 소득을 가지고 있다면 로렌츠 곡선은 대각선(완전 평등선)이 되고, 소득 분포가 불평등할수록 곡선은 대각선에서 멀어집니다.
지니계수는 이 대각선과 로렌츠 곡선 사이의 면적을 기반으로 산출됩니다.
즉 로렌츠 곡선이 대각선에서 멀어질수록 지니계수가 커지고, 이는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지니계수는 주로 경제 및 사회정책의 소득 분배 효과를 평가할 때 활용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는 로렌츠 곡선을 이용하여 구해집니다.
소득분포에 있어서 완전균형일 떄의 대각선과 로렌츠 곡선이 차지하는 넓이를 불평등 면적이라고 하며, 삼각형 전체 면적에서 불평등 면적을 제외한 면적을 A영역이라고 하면 됩니다.
지니계수= 불평등 면적/(불평등 면적+A영역) 로 구해집니다.
지니계수는 소득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지니계수가 0이라는 것은 소득 분배가 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니계수란 다음과 같습니다.
지니계수는 통상적으로 소득 분배 등의 불평등성을 간접적으로 보려주는 지표로
전체 소득 계층을 한 곳에 모아놓고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비율을 통해서
소득불균형 정도를 계산할 때 쓰이는 계수를 의미합니다.
지니게수는 일반적으로 0에 가까울 수록 균등하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단 것입니다.
지니계수를 구할려면 로렌츠 곡선을 이해해야 합니다.
로렌츠곡선은 특정 소득 계층 이하 수준의 국민들이 전체 소득에서 얼마나 차지하는 지를 보여주는 곡선입니다.
지니계수는 로렌츠곡선과 곡선이 차지하는 면적을
사람의 전체비율 곱하기 전체소득비중을 다시 2로 나눈 것 값으로 나눈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는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0은 완전 평등, 1은 완전 불평등을 의미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는 소득 불평등을 측정하는 지표로,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집니다. 0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고르게 분배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불균등하게 분배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의 정도가 낮다는 것을 뜻한다는 설명은 조금 오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지니계수가 0.4라면 소득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와 같은 경우에는
빈부격차와 계층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지를 알려줍니다.
지니계수는 0부터 1까지의 수치로 표현되는데, 값이 ‘0’(완전평등)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완전불평등)에 근접할수록 불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