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기계공학

솔직한저빌269
솔직한저빌269

차량간 통신(V2V)의 대한 질문 드립니다.

차량간 통신 기술의 기본 원리는 무엇이며 이 기술이 차량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과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V2V 기술이 구현되는 환경은 어떤 조건을 필요로 하는지 이를 위한 인프라 및 장비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V2V 기술의 데이터 전송방식은

    Vehicle Ad Hoc Network 를 통해 이뤄지는데

    이는 고정된 기반의 망을 두는게 아니라

    차량간 자율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기술입니다.

    V2V 기술에서의 통신 프로토콜로는

    DSRC 와 셀룰러 네트워크 로 크게 나뉘며

    DSRC는 주로 5.9 기가헤르쯔 대역에서 사용하며

    차량위치,속도 등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것으로

    WAVE 프로토콜이 대표적입니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기존 DSRC 에 비해 빠른 속도와 낮은 지연시간을 획득가능한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C V2X 기술을 들수 있겠습니다.

    V2V 기술을 위한 인프라 및 장비를 보면

    차량내부 운전정보등을 수집 전송을 위한 차량에 장착되는 On Board Unit

    WAVE 같은 프로토콜이 지원되는 통신 안테나 장비

    V2V통신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위한 컴퓨팅 시스템이 있어야만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 안전한 주행을 보장받을 수 있겠습니다.

    이런 기술이 구현이 되고

    인프라들이 완성되었을 때

    마지막 단계의 자유주행도 완성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V 는 Vehicle 의 약자이며, 차량 간의 통신을 말합니다. 우선 가장 강조되는 점은 앞에 있는 차량의 사고 등을 감지했을 때 주변 다른 차량들에게 이 정보를 보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무선 주파수 통신 기술의 발전 및 도입이 우선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차량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입니다.

    이는 무선망 통신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통신은 와이파이와 DSRC을 사용하며, 무선통신 모듈과 GPS 수신기 및 관련 처리장치와 소프트웨어 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