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올곧은꽃무지224
올곧은꽃무지224

피그말리온 효과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방송에서 피그말리온 효과라는걸 들었어요.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니지만 그것이 이루어진것처럼 믿음으로서 긍정정인 효과를 가져오는 거라고 본것 같은데 이게 맞나요?

일상에서 피그말리온 효과가 쓰이는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는 말씀하신 것처럼 어떤 사람에게 기대를 걸면, 그 기대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실제 행동이나 결과가 변화하는 심리학적 현상을 말하는데요 즉, 타인의 긍정적인 기대가 실제 성과를 높이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그리스 신화 속 조각가 피그말리온에서 유래했는데요, 피그말리온은 자신이 만든 여인상에 사랑에 빠졌고, 그 진심 어린 믿음이 여인상을 진짜 사람으로 변화시켰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 효과를 과학적으로 설명한 대표적인 실험은 1960년대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Robert Rosenthal)과 레노어 제이컵슨(Lenore Jacobson)의 초등학교 실험입니다. 연구자들은 한 초등학교에서 무작위로 몇몇 학생을 선정해 교사에게 “이 학생들은 앞으로 성적이 급격히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주었습니다. 실제로는 무작위 선정이었지만, 교사들은 이 학생들에게 더 큰 기대를 가지고 관심과 격려를 해주었고, 놀랍게도 이 학생들의 성적은 실제로 더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 실험은 “기대가 현실을 만든다”는 피그말리온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상생활 속 피그말리온 효과 사례를 들자면 학교에서 선생님이 어떤 학생에게 “넌 할 수 있어”라는 믿음을 자주 표현하면, 학생은 그 기대에 부응하려고 노력하며 실제 성적도 향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자기 자신에게도 적용이 가능한데요, 자기 자신에게 “나는 점점 더 잘하고 있어”라고 긍정적인 자기 암시를 주면, 실제로 행동이나 태도, 결과가 변화하는 경험을 하기도 합니다. 이와는 반대 개념으로 골렘 효과(Golem Effect)가 있는데요 이는 낮은 기대가 실제 성과를 떨어뜨리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넌 어차피 못 해”라는 말을 자주 들은 사람은 점점 자신감을 잃고 실제로 성과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피그말리온 효과는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기대를 걸고 있다는 믿음이 실제 행동과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긍정적인 기대와 격려를 보내는 것이 그 사람의 성장과 발전에 실제로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심리학적 원리입니다.

  • 네, 맞습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자기 충족적 예언의 한 종류로, 타인의 기대나 믿음이 대상자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실제로는 그렇지 않더라도 어떤 일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굳게 믿거나 기대하면, 그 기대에 맞춰 행동하게 되고 결국 그 기대가 현실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우리의 일상생활 다양한 분야에서 알게 모르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학교에서 교사가 특정 학생에게 '너는 충분히 해낼 수 있어!' 또는 '이번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을 거야!'와 같이 긍정적인 기대를 보여주면, 학생은 그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더 열심히 공부하고 실제로 성적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죠.

    이는 직장이나,육아에서도 비슷하게 활용됩니다.

    결론적으로, 피그말리온 효과는 우리가 타인과 자신에게 어떤 믿음과 기대를 가지느냐에 따라 실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긍정적인 기대를 품는 것이 우리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죠.

  • 피그말리온 효과는 타인의 기대나 믿음이 대상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실제로 그 기대에 부합하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일상에서는 교사가 학생에게 긍정적인 기대를 가질 때 학생의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거나, 부모가 자녀에게 믿음을 보여줄 때 자녀의 자존감과 능력이 발전하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