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이 증권사 온라인 MTS 를 통해 거래 할때 드는 비용
개인이 증권사 온라인 MTS를 사용해서 주식을 거래한다고 가정했을때
예를들어) 삼성전자 1주에 6만원 인걸 매수후 매도했다고 치면
손실 비용을 제외하고 드는 비용은 뭐가있나요?
거래 수수료 이런거 포함해서 뭐가 드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을 거래할 때는 수수료와 세금이 발생합니다.
주식 매매수수료는 증권사 별로 조금씩 다릅니다. 그리고 같은 증권사라 해도 전화를 이용해 매매하는지, 아니면 매매프로그램을 이용해 매매하는지에 따라 수수료가 달라집니다.
예로 들어 키움증권의 경우 MTS을 이용하면 0.015%의 수수료가 듭니다. 만약 100만원어치의 주식을 구입하면 수수료가 150원이 됩니다.
물론 100만원어치의 주식을 팔때도 0.015%의 수수료를 주어야 합니다.주식을 살때는 세금이 붙지 않습니다. 그런데 주식을 팔 때는 손해를 보고 팔든, 떼돈을 벌고 팔든 0.3%의 세금이 붙습니다.
따라서 100만원어치의 주식을 팔 때는 증권사에 내는 수수료 외에 100만원 * 0.3% = 3000원의 세금을 따로 내어야합니다.결국 주식을 살 때는 0.015% 수수료만 부담 (6만원일 경우 9원)
주식을 팔 때는 0.015% 수수료와 세금 0.3%(6만원일 경우 189원)를 같이 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HTS 및 홈페이지를 통하여 현금주식매매시에는 0.015% 수수료가 부과되며, 신용융자 매매시에도 동일한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주식 매도시에 부과되는 비용은 수수료(0.015%)와 증권거래세 등(0.20%)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이 증권사 MTS 를 통해서 매도를 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것은 '증권거래세(세금)'과 증권사에서 받게 되는 '증권거래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최근 mts를 통하여 국내주식에 대한 수수료는 대부분 무료입니다.
수수료율이 있더라도 100만원당 10원에 불과할 정도로 적고
유관기관 수수료만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