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23.01.14

기업들은 왜 공급 감소에 소극적인가요?

올해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넘어갈 때쯤 경기침체 우려가 나왔는데도 불구하고, 반도체 기업들은 생산을 줄이지 않고 매출에 타격을 입고 재고 자산이 늘어남에 따라 생산을 줄인다고 하는 것 같은데 왜 기업들은 공급 감소에 소극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은 여러 가지 이유로 공급을 줄이는 데 소극적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이유는 생산량을 줄이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제조 공정에서 일시적인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업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약하다는 신호를 시장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량을 줄이는 것을 주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가 하락과 투자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도체 업체의 경우 리드타임이 길고 제품에 들어가는 고정비가 높아 감산을 꺼릴 수도 있다. 반도체 회사는 종종 고객과 장기 계약을 맺고 일정 기간 동안 일정량의 칩을 생산할 것을 약속합니다. 생산량을 줄이면 이러한 계약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회사는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기 위해 공장을 최대 용량으로 가동하기 위해 생산 수준을 유지하기를 원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업은 주기적이며 기업은 향후 수요 반등을 예상할 수 있으므로 감산을 꺼릴 수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경쟁자에게 빼앗기지 않기를 원할 수도 있습니다.

    요약하면, 기업은 생산 감소와 관련된 비용, 제품과 관련된 긴 리드 타임 및 높은 고정 비용, 향후 수요 반등에 대한 기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공급 감소에 소극적일 수 있습니다. 반도체 회사의 경우에도 고객과의 장기 계약, 유지하려는 규모의 경제와 시장 점유율 때문에 감산을 꺼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급을 감소시킨다면 향후 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을 때에는

    적절하게 대응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극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브랜드 가치가 어느정도 올라서있는 기업이 아니라면

    공급하는 부분이 자체 브랜드 가치 상승에 영향을 많이 미칩니다.

    그리고 연계되어 있는 2차3차 업체들의 계약물량들도 있구요.

    이런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서 물량 공금 감소를 결정하는 건

    쉬운게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산업과 사업에 따라 다르나 공급량 감소를 위해 공장의 가동률을 줄이게 되면 고정비 등 관련 비용이 증가하여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 반도체의 경우 재고가 쌓이더라도 경기가 좋을 때 재고를 소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 제조업의 경우 약간 손해를 보더라도 가동률을 높이는 게 생산을 줄여 발생하는 고정비 증가 보다 발생 손실이 더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근우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생산에는 원재료, 설비, 인력이 필요합니다.

    이 요소 중 설비 및 인력은 원하는 대로 늘이거나 줄이는 등 조절이 쉽지 않아

    기업은 당장 생산을 줄이길 원해도 그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다른 문제로는 규모의 경제가 사라진다는 점입니다.

    규모의 경제는 같은 물품이더라도 소량으로 생산했을 때보다 대량생산했을 때의 비용이 줄어드는 것을 말하는데요.

    100개 생산하던 걸 50개 생산하더라도 비용 측면에서는 100이 75로 별반 줄어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국 가격경쟁력의 약화 또는 기업 마진의 감소로 이어지겠죠.

    이외에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위 두가지 이유가 대표적이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