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정겨운발구지254
정겨운발구지25423.01.20

부동산 용어중 hai가 무엇인가요? 궁금합니다

hai는 어떻게 보는것이고 지표중 무엇과 같이봐야되는지 궁금 합니다

쉽게 알려주세요 부린이라 잘 모릅니다

지금 부동산시장에서 어떤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에서 사용되는 hai는 주택구입부담지수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중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하게 되는 경우에 상환부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즉, 중산 계열층이 적당한 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는데 어느 정도로 부담이 되는지를 보는 것인데, 이 hai는 낮을수록 주택구입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hai가 높을수록 주택을 구매하기에는 부담이 많은 상황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하이"는 한국의 부동산 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법적으로 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건물이나 단위의 바닥 면적을 가리킨다. 건축물이나 단위의 폭과 높이를 기준으로 생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적을 제한하는 지자체가 정한 비율인 활용계수에 총 용적률을 곱해 산출합니다.

    예를 들어 활용계수가 0.7이라면 전체 연면적의 70%만 생활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나머지 30%는 복도, 계단통, 엘리베이터 등 공용공간으로 간주돼 생활공간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하이는 거주자가 사용할 수 있는 실제 거주 공간을 나타내기 때문에 주택 재산의 크기와 가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세금은 총 바닥 면적이 아닌 부동산의 하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재산세를 계산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이에 비해 '주반'은 공용공간을 포함한 건물이나 단위의 총 연면적으로 관리비 산정과 소방안전규정 점검에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HAI란 주택구입부담지수로

    중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이니 참고하세요.

    이와 더불어 주택구입물량지수 등도 검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HAI는 주택구입부담지수를 말합니다.

    다음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