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통약 차이점이 뭔가요??????
생리통약 중 평소에 저희가 살 수 있는 일반진통제와 병원에서 놓아주는 링거의 차이는 무엇인가여??
학교에서 개인별세특을 쓰는데 제 진로가 간호 쪽이라서 주제를 일반진통제와 링거의 차이로 잡았거든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진통제 성분의 차이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일반의약품으로 구입이 가능한 생리통약의 성분은 보통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나 타이레놀과 같은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입니다. 두 약은 서로 효과를 내는 기전이 달라서 동시에 복용하기도 하는 약들입니다. 병원에서 수액으로 투여하는 진통제도 대부분의 경우 NSAIDs와 같은 종류를 사용하고,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진통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같은 종류의 약물이라 하더라도 경구로 투여하는 약보다 정맥주사로 투여하는 약이 더 빠르게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통증이 심할 땐 수액으로 투여하는 편이 더 효과적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일반진통제는 주로 경구 복용하는 형태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인 이부프로펜(애드빌), 나프록센(알리브) 등이 있습니다. 이들 약물은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며, 소화기관을 통해 흡수된 후 체내에서 작용합니다. 효과는 복용 후 약 30분에서 1시간 내에 나타나며, 약효가 지속되는 시간은 약물에 따라 다릅니다.
반면, 병원에서 사용하는 링거는 정맥 주사를 통해 직접 혈류로 투여되는 약물로, 효과 발현 시간이 빠르고, 약물의 농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링거에는 진통제뿐만 아니라 수액, 전해질, 비타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진통제로는 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나 진통/해열 작용이 있는 아세트아미노펜이 사용됩니다.